<p></p><br /><br />트럼프의 두번째 반격 카드는 바이든의 정권인수 자금줄을 막는 것입니다. <br> <br>조달청이 당선인의 승리를 공식화하지 않아서 인수위가 필요한 자금을 받지 못하는 것인데, 바이든 측은 소송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정하니 기자입니다 <br><br>[리포트]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당선인(지난 8일)]<br>저는 대선 출마선언을 했을 때부터 미국을 대표할 수 있는 대선 캠프를 만들고 싶었습니다. 그리고 그랬다고 생각합니다. 이제 저는 그런 행정부를 만들고 싶습니다. <br> <br>바이든 당선인이 승리 선언을 한 지 이틀이 지났지만, 법적으론 여전히 후보 신분입니다. <br> <br>대통령 당선인의 정권 인수에 필요한 인력과 자금을 지원하는 미 연방조달청이 최종 결정을 미루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만큼 개표가 마무리될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에밀리 머피 조달청장은 3년 전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했습니다. <br> <br>바이든 인수위는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<br>110억 원에 달하는 조기 자금 지원은 물론이고, 내각 구성과 청문회에 필요한 인사 검증 자료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정상간 통화와 통역 같은 외교 지원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이에 대해 조달청은 성명에서 "헌법에 기초해 승자가 명백해지면 차기 정권에 지원을 시작한다"고 강조했지만 기준이 어떤 것인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.<br> <br>바이든 캠프 측은 법적 대응을 시사했습니다. <br><br>[크리스 루 / 오바마 대통령 인수위원] <br>바이든 행정부의 장기적 성공을 가로막기 때문이 아니라, 권력 이양간 정부의 공백을 야기하고, 국가 안보의 위험성을 높이기 때문에 (문제입니다). <br> <br>인수위 활동이 차질을 빚은 건 플로리다주 재검표 논란을 빚었던 2000년 부시 대통령 이후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 <br> <br>honeyjung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