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름통 나온 옛 미군기지…"국방부 전수조사 응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강원도 춘천의 옛 미군기지 땅속에서 폐아스콘과 기름통 등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부실 정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지 전체의 토양 재조사를 요구하고 나선 시민사회단체는 책임 부처인 국방부가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2005년 미군이 철수하며 반환받은 춘천 캠프페이지 부지입니다.<br /><br />2009년부터 4년 동안 국방부 주도로 토양 정화 작업이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지난 5월 일부 구역의 토양 오염 수준이 법정 기준치의 최대 6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또 지난달에는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된 땅속에서 20ℓ짜리 기름통 30여 개가 무더기로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잇따라 발견된 오염물질이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자 문화재청은 이 일대 공원 조성을 위해 진행 중이던 문화재 발굴조사를 전면 중단했습니다."<br /><br />책임지겠다는 입장을 낸 국방부는 투명한 조사를 위해 춘천시와 시민사회단체도 참여하는 민간검증단을 꾸리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9월 검증단 구성 합의각서까지 체결했지만, 세부 규정을 만드는 과정에서 마찰이 생겼습니다.<br /><br />시민단체는 어디에서 뭐가 나올지 모르니 캠프페이지 전체 64만㎡에 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 "캠프페이지의 토양오염 전수조사를 요구하는 것이지 이미 확인된 오염 토양의 재검증을 하자는 것이 아님을 명백히 밝힌다."<br /><br />하지만 국방부는 전체의 5.7% 수준인 3만 6천여㎡만 진행하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11년 전 정화작업이 이뤄졌던 부지에 국한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국방부는 합의각서를 체결하기 전인 지난 6월 환경부와 춘천시 등과 협의해 이미 조사 범위를 확정 지었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민간검증단이 출범하면 전문가 의견에 따라 면적을 조정할 수도 있다고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시민단체는 전수조사가 시행되지 않을 경우 합의각서 파기 등 강력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상현입니다. (idealtype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