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靑 파견 행정관들도 압수수색…윗선 수사는 어디까지?

2020-11-11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월성 1호기 조기 폐쇄와 관련한 검찰의 수사가 청와대를 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제성 평가를 조작하는 과정에 청와대가 개입했는지 살펴보기 위해, 당시 청와대 행정관들 거주지를 압수수색했는데요. <br> <br>애초 감사원은 산업자원부 관계자들만 수사 필요성을 언급했지만, 검찰은 청와대, 그러니까 윗선까지 수사를 확대한 겁니다. <br> <br>여권은 검찰과 감사원이 짜고 정권 흔들기에 나섰다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여권과 권력기관이 맞서는 형국인데요. <br> <br>먼저, 수사 상황을 정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월성 원전 1호기 조기 폐쇄 의혹을 수사 중인 대전지검 수사팀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직원 2명의 집과 휴대전화를 압수 수색했습니다. <br> <br>이들은 원전 조기 폐쇄가 결정된 지난 2018년 6월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실 행정관으로 파견 근무 중이었습니다. <br> <br>당시 이들의 직속상관은 채희봉 산업정책비서관. <br> <br>검찰은 지난 5일 채 전 비서관이 재직 중인 한국가스공사 사장실도 압수수색했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월성 원전의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 사건에 이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앞서 감사원은 감사 결과가 담긴 7천 쪽 분량의 수사 참고자료와 감사 자료 등을 검찰에 넘겼습니다. <br><br>수사 참고자료에는 백운규 당시 산업부 장관과 산업부 원전정책 관련 실무진 2명,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에 대한 수사 필요성이 적시된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당초 원전을 한시적으로 가동하자는 실무진의 의견이 백 장관에게 보고된 이후 조기 폐쇄로 바뀐 과정도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산업부 관계자는 "장관 보고 이후 실무진 의견이 바뀐 것은 맞다"면서도 "보고 당시 상황은 당사자들만 알고 있어서 확인이 어렵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압수물 분석 이후 시작될 검찰의 관련자 소환이 어느 선까지 확대될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edg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지균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