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·일 ‘바이든 통화’ 경쟁…어디와 먼저 통화하나

2020-11-11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바이든 당선인이 해외 정상들과 차례로 통화를 하고 있는데, 우리와는 언제할지, 순서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민지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. <br><br>Q1) 청와대도 바이든 당선인과 통화를 시도하고 있습니까? <br> <br>청와대 측은 내일 통화하려고 시간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지난 8일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 선언 나흘 만에 첫 인사가 이뤄지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일본 스가 총리도 내일 통화가 예정돼 있는데요. <br> <br>한국과 일본 중 바이든 당선인이 어디와 먼저 접촉할지를 놓고 한일이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><br>Q2) 한미, 미일 관계의 우선순위를 보여주는 민감한 문제네요. 그럼 전직 미국 대통령들은 한국과 일본 중 어디가 먼저였나요? <br> <br>통상 미국 대통령 당선인들은 일본, 한국 순서로 통화해 왔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4년 전에는 선거 결과가 나오자 일본 아베 전 총리, 바로 뉴욕 트럼프 타워까지 날아가 트럼프 대통령이 좋아하는 일제 골프 클럽까지 선물했습니다. <br> <br>[아베 신조 / 전 일본 총리(2016년 11월)] <br>"신뢰 관계를 구축해 나갈 수 있다는 확신이 든 회담이었습니다." <br> <br>아베 전 총리 이렇게 공들인 이유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힐러리 후보가 당선될 줄 알았다가 뒤바뀌자 급하게 줄을 대기 위해서였다는 건데요. <br> <br>스가 총리 역시 관방장관 당시 부통령이었던 바이든 당선인과 친분도 있어 미·일 동맹 과시 차원에서 가장 먼저 만나려고 애쓸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Q3) 이번에는 변수도 있네요. 미국 외교 수장이 아직 트럼프 행정부 폼페이오인데, 바이든 당선인의 당선을 인정하고 있지 않잖아요? <br> <br>폼페이오 국무장관, 바이든 당선인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. <br> <br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국 국무장관] <br>"인사만 나누는 거라면 문제 될 건 없겠죠. 하지만 분명히 말해둡니다. 미국은 한 명의 대통령과 한 명의 국무장관, 한 개의 국가안보팀만 있습니다." <br> <br>민간인의 외국 정부 협상을 금지한 로건법 위반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한마디로 아직 공식 당선인이 아니란 겁니다. <br><br>Q4) 우리가 어제 공화당이 표 계산 때문에 트럼프 손을 든다고 분석했는데, 폼페이오도 정치적 야심 때문에 트럼프 편을 드는 것일까요? <br> <br>네. 오늘 트럼프 대통령은 폼페이오 장관 발언을 SNS에 공유하며 "이것이 폼페이오가 육사에서 1등 한 이유"라고 추켜세웠습니다. <br> <br>과거 캔자스주 상원 출마를 권유할 만큼 폼페이오 장관에 대한 신뢰가 두터운데요. <br> <br>폼페이오 장관, 트럼프 대통령 지지를 기반으로 상원을 넘어 차기 대권까지 꿈꾸고 있을 겁니다. <br><br>Q5) 포스트 트럼프, 또 누가 있습니까. <br><br>바로, 펜스 부통령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여론조사에서도 공화당내 차기 대권 주자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는데요. <br> <br>공화당 가치 실현에 가장 가깝다 보니 포스트 트럼프로 불리는 겁니다. <br><br>Q5) 이방카 이름도 나오고 있네요. <br><br>이방카는 6년 전에 아버지한테 이런 명언을 들었다며 야망을 드러내기도 했죠. <br><br>[이방카 트럼프 / 백악관 선임고문(2014년)] <br>"꿈을 꾸려면 어쨌든 큰 꿈을 가지라고요." <br> <br>퍼스트 도터였던 이방카가 정치에 입문할지 모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트럼프가 킹메이커가 될 수도 있다는 예측이 괜히 나오는 것은 아니군요.<br><br>김민지 기자 잘들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