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연말이 다가오면서 코로나 때문에 막혔던 수출 물량이 늘고 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국내 기업들, 배를 구하지 못해 물건을 못 보내는 초유의 사태입니다. <br> <br>해운 운임비용이 최고치를 찍으며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비상입니다.<br><br>선박 대란 현장 조현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2017년부터 초유로 만든 화장품을 미국 등 50여 개 나라에 수출하고 있는 스타트업 대표 곽태일 씨. <br> <br>올해 예상 매출액이 100억 원대에 달할 정도로 급성장 하고 있지만 예상치 못한 난관을 만났습니다. <br> <br>지난 9월부터 배를 구하지 못해 2개의 큰 계약을 날린 겁니다. <br> <br>[곽태일 / 화장품 스타트업 대표] <br>"'발주는 받았고 물건 생산해서 실으면 되겠다' 했는데 배가 안되니까. 납기일을 2주 이상 못 맞춰 바이오가 캔슬했죠. 손해액이 10억 원 이상." <br> <br>2개월 만에 배를 겨우 하나 구했지만 언제 떠날지 알 수 없습니다. <br><br>"실제로 한국 수출기업이 주로 이용하는 미국 항로 해상 운임이 크게 올랐는데요. <br> <br>12m 길이 컨테이너 하나당 3871달러로 역대 최고치입니다." <br> <br>대기업도 예외는 아닙니다. <br> <br>LG화학은 최근 배를 구하지 못하자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시베리아 횡단 열차로 유럽에 보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는 27일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특수를 앞둔 삼성전자와 LG전자도 비상입니다. <br><br>한 관계자는"대기업의 경우 연간 계약을 맺어 당장의 추가 운송료 부담은 없지만 물량을 추가로 보내야 할 경우 큰 일"이라고 <br>말했습니다.<br> <br>해운업계는 선박 대란이 장기화 될 것을 우려합니다. <br> <br>[해운업계 관계자] <br>"생물이나 마찬가지에요 해운산업도. (고가 운임에) 틀림없이 신규 발주가 나와요. 하지만 배를 지으면 2년이 걸려서 하루 이틀 사이에 확 바뀌진 못해요." <br> <br>해운 운임이 급등하고 원 달러 환율까지 떨어지면서 연말 수출 기업들의 타격이 현실화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현선입니다. <br> <br>chs0721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권재우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