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해운업 강국인 우리나라인데, 선박 대란이 일어난 이유 무엇일까요. <br> <br>2017년 한진해운 파산으로 국적선이 줄어들면서 뱃길이 불안해진 것입니다. <br> <br>정부도 대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황규락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145척의 선박을 보유했던 세계 7위 선사. <br> <br>우리나라 대표 선사였던 한진해운입니다. <br><br>2017년 정부의 지원 중단으로 한진해운이 파산한 뒤 우리나라 국적 선사 적재 능력이 급감했고 수출의 가장 중요한 통로인 미주 노선 점유율도 줄었습니다.<br> <br>[이혜연 /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] <br>"(한진해운이) 미주노선을 잘 구축해놔서 월마트나 코스트코 같은 대형 유통업체들과 계약을 정기적으로 체결했고 큰 어려움이 없었는데" <br> <br>[이혜연 /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] <br>"한진해운이 파산하면서 현재 물류 어려움에 영향을 주지 않았나." <br> <br>외국 대형 선사들은 갈수록 선박 크기를 키워 운임을 낮추고 있습니다. <br><br>한진해운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는 HMM도 초대형 선박을 도입하고 있지만 여전히 차이가 큽니다.<br> <br>국적 선사의 경쟁력이 더 커져야 세계 해운 동맹에서 협상력을 발휘하고 국내 기업들은 더 저렴한 운임으로 국적선을 이용하는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한종길 / 성결대 동아시아물류학부 교수] <br>"한진해운이란 방파제가 있어서 무역업계도 운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었는데 이것을 갖지 못한다는 게 너무 안타깝습니다." <br> <br>정부는 선박 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선사들과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문성혁 / 해양수산부 장관] <br>"11월부터 내년 2월까지도 매월 한 척 이상의 선박을 추가 투입해 수출 중소기업에 선적공간을 제공할 예정입니다." <br> <br>현재 글로벌 선사들이 수익성 높은 중국 노선에 배를 집중 투입하고 있어서 선박 대란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