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검찰은 오늘 당시 백운규 전 장관의 질책을 받고, 보고서를 다시 썼던, 산업부 실무자를 소환조사 했습니다. <br> <br>압수수색부터 줄소환까지 대전지검의 수사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요. <br><br>백 전 장관과 당시 청와대 인사 소환도 머지않았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대전지검 수사팀은 어제 산업통상자원부 국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18년 월성 1호기 조기폐쇄 결정 당시 원전 정책을 담당했던 인물입니다. <br> <br>해당 국장은 지난해 11월 감사원 감사를 앞두고 산업부 직원에게 관련 자료 삭제를 지시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재형 / 감사원장 (지난달 15일)] <br>"감사 저항이 굉장히 많은 감사였습니다. 복구하는 데도 시간이 걸렸고." <br><br>검찰은 오늘도 산업부 서기관을 소환 조사했습니다. <br><br>이 서기관은 월성 원전 1호기 한시 가동을 주장했다가, 백운규 당시 장관에게 보고한 뒤 즉시 폐쇄로 의견을 바꾼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동시다발적 압수수색에 들어간 지 일주일도 안 돼 검찰이 속도감 있게 관련자 소환에 나선 건, 감사원이 검찰에 전달한 7천 쪽 분량의 수사 참고자료 덕분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검찰은 청와대 사회수석실의 개입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앞서 검찰이 주거지와 휴대전화를 압수수색 한 청와대 행정관 2명은 각각 사회수석실 기후환경비서관실과 경제수석실 산업정책비서관실 소속이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당시 기후환경비서관실 관계자는 "조기 폐쇄 결정 당시에 원전 관련 업무는 산업정책비서관실로 이미 넘어가 있었다"며 관련 의혹을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백운규 당시 산업부 장관과 청와대 관계자 등에 대해서도 조만간 소환에 나설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edg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