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감원 해명에도 꼬리 무는 옵티머스 의혹…왜?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옵티머스자산운용이 수천억원대 금융 사기를 저지르는 동안 관리 감독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는 금융감독원이 적극 해명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부실 검사나 봐주기를 해온 게 아니라는 건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석연찮은 부분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금융감독원에 쏟아진 옵티머스 관련 대표 의혹은 2017년 8월부터 옵티머스를 검사해놓고 왜 사기를 잡아내지 못했느냐는 겁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금감원은 "옵티머스가 공공기관 매출채권을 집중적으로 판매한 것은 2018년 3월부터라 횡령 문제로 벌였던 2017년 검사에선 이 문제를 들여다볼 수 없었다"고 해명합니다.<br /><br />또 하나의 의문은 대주주 변경 승인입니다.<br /><br />대주주의 횡령 탓에 자본이 부족해 금융당국의 적기시정조치를 받을 뻔했던 옵티머스의 기사회생은 2017년 12월 당국의 조치 유예 덕이었고, 유예의 결정적 이유는 문제 대주주의 교체였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옵티머스의 대주주 변경 승인은 보통과 달리, 사후에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 3년간 금융사 대주주 변경 사후 승인은 딱 두 번뿐입니다.<br /><br />하나는 대주주가 사망한 경우, 다른 하나가 바로 옵티머스입니다.<br /><br />보기 힘든 일이 일어난 데 대해 금감원은 이혁진 전 대표 측이 새 대주주를 상대로 검찰에 제기한 민원이 해결됐기 때문이라고 해명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석연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이 전 대표는 같은 문제로 2018년 2월 금감원에 제기했던 민원은 취하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금감원은 검찰쪽 민원이 해결됐다며 정작 직접 접수한 민원엔 결론을 내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김재현 대표 측이 이 전 대표를 상대로 제기한 업무상 횡령 민원에 대해선 2018년 11월 대표 해임권고를 내렸던 금감원이 양측 민원에 상이한 대응을 한 이유가 의심을 사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