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오늘은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 알셉(RCEP) 체결 소식으로 시작하겠습니다. <br> <br>미국의 정권교체기인 지금 중국이 이끄는 자유무역협정이 체결됐습니다. <br><br>트럼프식 보호무역주의로 잠시 주춤했던 자유무역, 다시 활기를 찾을까요. 또 임기 후반기에 들어선 우리 정부는 미국 중국 사이에서 어떤 성과를 낼 수 있을까요. 먼저 강지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, RCEP에 한국을 비롯한 15개국 정상이 최종 서명했습니다. <br><br>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, 호주, 뉴질랜드 등 15개국이 참여합니다. <br> <br>전 세계에서 인구와 GDP, 무역의 약 30%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FTA입니다.<br> <br>8년간 협상 끝에 탄생한 RCEP으로 회원국들 사이에서는 관세가 철폐되는 등 자유무역이 탄력을 받게 됐습니다. <br> <br>서명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자유무역의 가치 수호를 행동을 옮겼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[강민석 / 청와대 대변인] <br>"(문 대통령은 RCEP이) 전 세계 다자주의 회복과 자유무역 질서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했습니다. <br><br>RCEP은 9개 국가 이상의 비준이 완료돼야 발효되는 만큼 우리 정부도 조만간 국회 비준동의 절차를 밟을 예정입니다.<br> <br>RCEP 타결로 경제적 효과가 예상되지만 과제도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미중 갈등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 주도의 다른 다자간 FTA를 지원할 경우, 이 FTA 참여 여부를 두고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중국이 아태지역 자유무역협정을 주도하는 것을 견제해왔습니다. <br><br>미국과 중국 사이 애매한 입장을 의식한 듯 청와대는 RCEP이 중국 주도가 아닌 아세안 국가 주도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RCEP이 미국 주도의 자유무역협정과 대립적인 게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