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0대 이하가 절반 넘어…"거리두기 격상 시급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가족, 지인 등의 모임을 통한 코로나19 감염이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양상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거리두기를 완화한 이후 지역사회에 숨어있던 무증상 감염이 확산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선제적인 거리두기 격상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이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국내 코로나19 확산 양상은 이전과 다릅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의 신천지나 5월의 이태원클럽, 8월의 광화문집회 등 모두 대규모 집단감염이었다면 이번엔 가족·지인모임 등 소규모 집단감염이 유행을 주도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소규모 감염은 특정 집단에 국한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전국적으로 확산할 위험이 높습니다.<br /><br /> "무증상·경증 감염자의 누적으로 지역사회 감염의 위험이 증가했습니다. 거기에 동절기의 요인이 더불어져서 전국적인 대규모 확산위험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사회 활동이 활발한 청·장년층 확진자가 늘고 있는 것도 확산 위험을 높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1주간 40대 이하 확진자는 전체 확진자의 절반을 넘는 상황.<br /><br />비교적 젊은 층에서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비중도 이달 첫째 주 11%대에서 현재 15%로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지역사회에 숨어있던 바이러스가 청·장년층을 매개로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는 만큼, 거리두기 격상을 선제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열흘 내로 800~1,000명까지 나올 수 있는, 내일부터 거리두기를 강화해도 증가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거리두기 강화 조치는 증가세에 있다면 선제적으로….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청·장년층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확대하는 것과 동시에, 거리두기 단계 격상과 관련해서도 막바지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