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0여년 만에 날개 접는 아시아나…합병까지 과제 산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한항공의 인수가 성사되면 국내 2위 대형항공사로 자리를 지켰던 아시아나항공은 설립 30여 년 만에 그 이름을 내려놓게 됩니다.<br /><br />다만 실제로 두 회사가 합병되기까지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88년 2월 창립한 아시아나항공은 복수 민항사 체제를 유지하려는 정부의 의지와 함께 고속 성장했습니다.<br /><br />1990년 서울~도쿄 노선 취항을 시작으로 하늘길을 넓혀갔고, 해외에서도 차별화한 서비스로 주목을 받아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무리한 인수합병으로 금호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에 빠졌고, 아시아나항공도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코로나19 사태라는 최대 악재에 결국 30여 년 만에 경쟁자 대한항공에 통합될 처지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인수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2022년부터 아시아나의 이름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전망이지만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당장 양사 5개 노조는 긴급 회동을 갖고 노동자 의견을 배제한 인수 결정의 철회를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반기 말 부채비율이 2,300%에 육박하는 아시아나도 위기지만 대한항공도 알짜사업 기내식을 팔고 산은 자금을 수혈받는 처지입니다.<br /><br />구조조정이 없다는 대한항공과 산업은행의 발표가 의문일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부실기업을 인수하는 대한항공 입장에서 구조조정 없이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겠는가 하는 점에서 이번 딜에서 가장 어려운 난제로 예상이 되고요…"<br /><br />무엇보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경영권 분쟁 중인 주주 그룹이 강력하게 인수 반대에 나서고 있는 점이 변수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땅콩 회항, 물컵 갑질 등 잦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한진 총수 일가에게 정부가 특혜를 주는 것 아니냐는 눈초리도 쉽사리 거둬지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