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대한항공이 매각이 불발된 아시아나의 새 주인이 됩니다. <br> <br>겉으로만 보면, 여객 수송 인원 세계 19위와 36위가 합쳐져 세계 10위 초대형 국적 항공사가 탄생하는 거죠. <br><br>하지만,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. <br> <br>코로나 19로 치명타를 입은 대한항공은 이미 부채가 23조에 달합니다. <br><br>아시아나를 인수할 돈이 없다보니, 산업은행이 8천 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우리 세금이 들어가는 거죠. <br><br>국가 경제를 담보로 한 고육지책 성격이 강한데요. <br> <br>먼저, 박지혜 기자가 오늘 발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대한항공을 보유한 한진그룹이 아시아나 항공을 인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[조원태 / 대한항공 회장] <br>"많은 고민과 부담이 있었지만, '수송으로 국가에 기여한다'는 한진그룹 이념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 시대적 사명이라고 생각했습니다." <br> <br>두 회사 통합을 위해 산업은행은 정책자금 80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한진그룹의 지주회사격인 한진칼은 대한항공의 2조 5천억 원 규모 유상증자에 참여합니다. <br> <br>대한항공은 이 가운데 1조 8천억 원을 인수자금으로 활용합니다. <br><br>국내 1위 대한항공이 2위 아시아나 항공을 인수하게 되면 매출은 19조 원, 자산은 40조 원에 달하는 세계 10위권 항공사로 몸집을 불리게 됩니다.<br><br>대한항공 보유 항공기는 164대, 아시아나 항공 보유 항공기는 79대인데, 합병이 이뤄지면 프랑스와 독일 유수 항공사에 버금가는 규모가 됩니다.<br> <br>대한항공이 보유한 진에어와 아시아나의 자회사인 에어서울,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도 단계적으로 통합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지방공항을 기반으로 새롭게 영업 구도를 재편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코로나19 상황이 여전히 심각한 데다 전 세계 항공 수요가 침체된 상황에서 통합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[박지혜 기자] <br>"회생이 어려운 회사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혈세를 추가로 투입한다는 점은 논란이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