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CEP 서명에 웃는 자동차 부품업계…전기차는 글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, RCEP 협정으로 최대 수혜를 보는 건 우리 자동차 부품 업체입니다.<br /><br />완성차 판매에도 호재인데요.<br /><br />관세 경감이나 면제 혜택을 받으며 수출할 수 있는 나라가 늘어나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그렇다면 이 RCEP 협정, 우리 전기차 산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모두 15개국이 하나의 무역 공동체를 이루게 되는 RCEP.<br /><br />그야말로 세계 최대 규모입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에겐 일본과의 첫 FTA라는 의미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아세안 국가의 시장문이 활짝 열리게 되는데, 최대 89%였던 아세안 관세 철폐 수준이 94%까지 확대됩니다.<br /><br /> "관세를 낮출 수 있어 우리나라의 수출기업들에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뿐 아니라 소비자들 입장에선 보다 저렴한 가격에 양질의 제품을…"<br /><br />협정이 발효되면 가장 큰 수혜를 보는 건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 수출 업체.<br /><br />인도네시아, 필리핀, 태국은 안전벨트, 에어백, 휠 등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아예 없애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완성차 업체에도 호재입니다.<br /><br />관세라는 비용이 줄면 현지에서 보다 저렴하게 차를 팔 수 있어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치열한 글로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우리 전기차 업계 사정은 어떻게 변할까.<br /><br />친환경차 시장은 각국의 보조금 정책에 크게 의존하는데,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은 자국산 차량에만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이 주도권 잡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한국 차량엔 보조금을 지급 안 하거든요. 관세가 떨어진다 해도 중국차와의 저가형 전기차에 대한 경쟁력이 지금보다 더 올라간다 이렇게 보긴 어렵습니다.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우리 정부가 다른 나라와 환경에 대한 별도의 협약을 맺는 등 전기차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