앞으로 국제수로기구, IHO가 발간하는 표준 해도에서 '일본해'라는 이름이 사라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것이 '동해'로 바뀌는 것은 아니고, 모든 바다를 이름 대신 고유번호로 나타내는 방식을 쓰게 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도원 기자! <br /> <br />동해냐 일본해냐를 두고 그동안 우리와 일본이 치열한 논쟁을 벌여왔는데요, 일종의 타협안이라고 볼 수 있겠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어젯밤 화상으로 열린 IHO 총회에서 이런 방안이 표결 없이 합의로 채택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앞으로 IHO가 새로 발간하는 표준 해도는 전 세계의 바다를 이름이 아닌 고유번호로 표시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일제강점기 때부터 국제 표준 해도에 사용됐던 '일본해'라는 이름도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지도에 '일본해'라고 단독 표기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로 국제 표준 해도를 거론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이번 결정은 일본의 논리를 약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IHO가 고유번호를 도입하기로 한 공식적인 이유는 디지털 시대에 더 적합하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1953년에 제작돼 시대에 뒤떨어진 국제 표준 해도의 개정작업이 동해·일본해 논쟁 때문에 23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현실도 반영됐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의 해도는 국제 표준은 아니지만,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변천을 보여주는 차원에서 일반에 공개됩니다. <br /> <br />이를 두고 일본 정부는 '일본해'가 표시된 기존 해도도 계속 이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외교부 관계자는 사실과 다른 설명이라고 일축했습니다. <br /> <br />IHO는 총회 결과를 회원국에 회람한 뒤 다음 달 1일쯤 총회 결과를 최종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동해 명칭에 관해 IHO에서의 논쟁은 일란닥됐지만, UN 지명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동해 병기를 확산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외교부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외교부에서 YTN 김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11712192764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