앞으로 국제수로기구, IHO가 발간하는 표준 해도에서 '일본해'라는 이름이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모든 바다를 이름 대신 고유번호로 표시한다는 방침인데, 동해 표기 확산을 위한 정부의 외교적 노력도 이제 새로운 단계에 들어서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동해냐 '일본해'냐를 두고 계속되는 한일 간의 논쟁이 한 단계를 마무리 지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수로기구, IHO는 화상 총회에서 새로운 '국제 표준 해도' 개발 방안을 표결 없이 합의로 채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방안은 디지털 시대에 맞춰 전 세계 모든 바다를 이름이 아니라 고유번호로 표시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'일본해'라는 이름은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재웅 / 외교부 부대변인 : 일본해를 단독 표기 중인 S23이 새로운 표준인 S130으로 이행됨에 따라서 일 측이 주장하는 일본해 명칭의 표준으로서의 지위가 격하된다는 점입니다.] <br /> <br />물론 새로운 해도에 동해라는 이름이 쓰이는 것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금처럼 일본이 국제 표준 해도를 근거로 '일본해' 단독표기를 주장할 수는 없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'일본해'라고 표시된 기존 해도도 계속 공식 사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지만, 외교부는 옛 해도는 국제 표준이 아니라 역사를 보여주는 출판물이 되는 것이라고 일축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해도는 1953년에 제작된 것으로, IHO는 진작부터 개정에 착수했지만 동해 명칭을 둘러싼 한일 논쟁이 23년간 이어지면서 진전을 이루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앞으로 외국 정부와 민간 지도 제작업체 등을 대상으로 동해 표기 확산 노력을 계속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등 인터넷 공간에서 동해라는 이름을 확대하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전 세계 지도에서 동해 명칭이 표기된 비율은 40%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11716581468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