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주택자 비율 되레 늘어…3040은 '영끌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강력한 규제책을 잇따라 내놨지만 지난해 집을 여러 채 가진 사람은 오히려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임대사업자 혜택 제공이 한 원인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정부가 공시가격을 올리면서 공시가 기준 비싼 집과 그렇지 않은 집의 가격 차는 더 벌어졌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11월 1일 기준 집을 가진 내국인은 1,433만 6,000명, 이 중에 84.1%는 한 채만 갖고 있었고 나머지는 다주택자였습니다.<br /><br />다주택자 비율이 1년 새 0.3%포인트 오른 건데, 2014년부터 꾸준히 늘던 이 비율은 중과세 등 규제 정책이 여럿 나온 지난해 오히려 증가 폭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다주택자 중에서도 집을 세 채, 네 채 이상씩 가진 경우 역시 2018년보다 많아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집을 한 채만 갖고 있다 두 채 이상 갖게 된 경우가 다주택자였다가 1주택자가 된 사람보다 8만 명 이상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사는 집 외에는 팔라는 정부가 한쪽으로는 임대사업자에게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한 결과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임대 사업자 등록을 하게 되면 수익률이 은행보다 높으니까 (다주택자가 늘었다.) (임대 사업자 혜택이 줄어든) 올해는 많이 줄었을 거예요, 작년보다."<br /><br />지난해 집을 한 채라도 늘린 사람은 123만 8,000명이었는데 40대가 가장 많았고, 30대가 뒤를 이어 이들 연령층의 이른바 '영끌'을 통한 집사기 열풍도 엿보였습니다.<br /><br />공시가격 기준이긴 하지만 집값의 양극화도 더 심해졌습니다.<br /><br />가격 상위 10%인 집은 공시가격 기준 평균 11억 300만 원으로, 1년 전보다 1억 2,600만 원 오른 반면, 하위 10%는 2,700만 원으로 100만 원 상승하는 데 그친 겁니다.<br /><br />꾸준히 증가하던 최상위와 최하위 간 배율이 지난해는 40배를 넘어선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