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, 최근까지 김해신공항 건설이 최선이라며 추진해왔던 국토부의 처지가 난감해졌습니다. <br> <br>안그래도 백지화 결정도 곤혹스러운데, 여당이 새 부지로 가덕도까지 밀어붙이자, 당혹스러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내년도 예산안에 가덕도 신공항 용역비 반영을 반대했던 김현미 국토부 장관, 오늘은 "어떻게 후속 조치 할지 검토 중"이라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송철호 / 울산시장 (지난해 3월)] <br>"김해 신공항 계획이 문제가 많다는 결론을 내리게 됐습니다." <br> <br>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김해 신공항 주변 산악 장애물이 위험하다는 주장이 나오자 반박 보도자료를 냈습니다. <br><br>"산을 깎아내지 않아도 안전한 비행절차 수립이 가능하다"고 강조한 겁니다. <br> <br>지난해 5월엔 "V자형 활주로를 만들면 안전성이 대폭 높아진다"고도 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는 산악 장애물을 남겨두는 과정에서 국토부와 부산시 간 협의가 부족했다며, <br> <br>국토부의 계획 수립 절차를 문제 삼았습니다.<br> <br>국토부는 결과를 수용하고 후속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했지만, 절차상 허점을 지적받은데 대해 곤혹스러워 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부산시가 주장하는 가덕도 신공항에 벌써 힘이 실리는 것도 부담스러운 부분입니다. <br> <br>검증위 발표 전부터 더불어민주당이 내년도 예산안에 가덕신공항 용역비를 반영하려고 하자, 국토부는 "원점 검토가 원칙"이라며 신경전을 벌여왔습니다. <br> <br>[김현미 / 국토교통부 장관 (지난 6일)] <br>"김해 신공항이 부적절하다는 결론이 나오면 수요 조사부터 원점 검토해야 하는데 대상지역을 열어놓고 시작하는 게 원칙입니다." <br> <br>국토부 내부에서는 계획 수립 단계에서 절차 문제로 김해 신공항 백지화가 결정되자 당시 업무를 맡았던 관계자들이 문책을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