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평가 꼴찌’에서 급부상한 가덕도…4년 전에는 왜?

2020-11-18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보신 것처럼 김해신공항 백지화 이후 가덕도 신공항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는데요. <br> <br>왜 가덕도여야 하는가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제정책산업부 안건우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Q1>4년 전 프랑스 전문가가 내린 평가 때문에 가덕도 신공항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는 건데요. 당시 안 기자가 직접 취재를 했었지요? <br> <br>날짜도 기억납니다. <br> <br>2016년 6월 21일 김해 신공항 뉴스를 전해드렸거든요. <br><br>당시 순위가 이랬어요. <br> <br>김해가 818점으로 제일 높았고, 그 다음이 밀양, 가덕도는 꼴찌였습니다. <br> <br>1위와 점수차가 180점 넘게 났거든요. <br> <br>신공항 후보에서 배제되다시피 했는데요. <br> <br>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당연한 결과라는 여론이 높은 상황이었습니다. <br><br>Q2> 당시 가덕도가 낮은 점수를 받은 가장 큰 이유가 뭔가요? <br><br>당시 정부가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이란 외국 전문기관에 다면 평가를 의뢰했습니다. <br> <br>운영성, 성장성, 접근성 다 의뢰를 했는데 특히나 낮은 점수를 받았던 부문이 접근성과 사업비 항목이었습니다. <br> <br>접근성은 물론이고, 사업에 투입되는 비용 면에서도 김해공항의 절반 수준이었습니다. <br><br>Q3> 접근성이라면, 도심하고 멀다는 건데요. 그런데 여당이나 부산시 측은 물류의 중심이 될 거라 말하고 있잖아요? 어떻게 되는 겁니까? <br> <br>이유가 없진 않습니다. <br><br>가덕도 위쪽에 부산신항이 있거든요. <br><br>신공항이 가덕도에 생기면 동남아의 해운과 항만을 아우르는 물류중심이 될 수 있을 거란 청사진이죠. <br> <br>대규모 개발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발전을 기대하는 겁니다.<br><br>하지만 가덕도의 위치를 보면 얘기가 달라집니다. <br> <br>부산 최남단이거든요. <br> <br>가덕대교를 빼면 접근하기가 어렵습니다. <br> <br>이미 고속도로와 경전철로 연결된 김해공항과 다른 점이죠. <br> <br>그래서 4년전 접근성에서 낙제점을 받았고요.<br><br>Q4> 섬이다보니 새로 교통망 구축도 해야 할 테고, 사업비는 올라가겠죠? 결국 공항 짓는데 돈이 많이 든다는 점이 지적됐던 거죠? <br> <br>2016년에 발목을 잡았던 게 바로 그 문제였습니다. <br><br>일단 교통망을 구축해야죠. <br> <br>또 여기가 섬이니까 물류허브 수준의 공항과 활주로를 만들려면 바다를 매립해야 합니다. <br> <br>10조 원 넘게 들어간다는 게 4년전 평가였거든요. <br> <br>김해 신공항에 들어가는 4조 원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인데요. <br><br>그래서 사업성 점수도 김해가 150점을 받았지만 가덕도는 79점이었습니다. <br> <br>현저히 낮았죠. <br><br>환경파괴 문제도 걸려있습니다. <br> <br>가덕도와 가까운 낙동강 하구 철새도래지가 파괴된다는 게 환경단체의 주장인데요. <br> <br>이들은 버드 스트라이크로 항공안전에도 문제가 생긴다고 주장했죠. <br> <br>해안 지역이라 태풍 피해 우려도 있었습니다. <br><br>4년 전, 이 모든 걸 고려해 당시 용역 총책임자였던 슈발리에 씨가 내린 결론입니다. <br> <br>"사업비 측면에서 문제가 많고 접근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가덕도는 안된다"<br> <br>이 문제점들을 해결할 묘책이 없으면, 가덕도 신공항이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할 우려가 큽니다. <br><br>전국 공항 15곳 중에 10곳이 5년 째 적자라고 하는데요. 11번째 공항이 되지 않도록 잘 따져봐야겠습니다. 지금까지 안건우 기자였습니다. 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