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인영, 연일 '대북 백신 지원' 시사…북한의 반응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연일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남북 보건 협력을 강조하고, 코로나 백신을 북한에 지원할 뜻이 있음을 내비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장관의 이런 행보를 두고 백신 지원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살피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통일부는 의료계와 함께 남북 보건·의료협력 협의체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상황에서 남북이 협력할 방안을 모색했습니다.<br /><br />회의를 직접 주재한 이인영 통일부 장관.<br /><br />보건·의료협력 협의체에 통일부 장관이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 "머지않은 시기에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고 보급된다면 서로 나눔과 협력을 통해서 한반도에는 사람과 물자가 오고 갈 수 있는 새로운 여건이 조성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이 장관은 최근 한 방송사에 출연해서도 "부족할 때 나누는 것이 진짜로 나누는 것"이라며 코로나 백신이 개발되면 북한에 지원할 뜻이 있음을 내비쳤습니다.<br /><br />이 장관의 거듭된 '백신 지원' 언급을 두고 남북 보건 협력에 앞서 국내 여론과 북한의 반응을 살피기 위한 의도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보수 성향의 매체에서는 정부가 우리 국민을 위한 백신을 확보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이 장관이 대북 지원을 언급한 것은 시기상조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더 중요한 문제는 북한의 호응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연일 국경 봉쇄를 통한 방역을 강조하면서 "없어도 살 수 있는 물자 때문에 국경 밖을 넘보지 말라"고 주민을 단속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이 거론한 '없어도 살 수 있는 물자'는 일반적인 외부의 지원을 의미할 뿐, '백신 지원' 제안에는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백신이 없으면 국경 봉쇄를 풀고 무역 활동을 재개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'백신 지원' 제안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코로나 백신이 개발돼 상용화된 이후에나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