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 추수감사절인 11월 26일. 다음주 목요일부터 연말 연휴까지. 코로나 19가 무섭게 번질 가능성이 큰 시기로, 꼽힙니다. <br><br>바짝 긴장해도 모자랄 판이지만 불행하게도 사람들 긴장은 느슨해질대로 느슨해졌습니다. <br><br>미국도 유럽도, 여행자제령을 내렸지만 공항은 북적이고 인생을 즐기자는 외침은. 마스크도 벗어던지게 만드는 현실입니다. <br><br>최선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여행용 가방을 끌고 가는 가족단위 관광객들로 공항이 북적입니다. <br> <br> 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글도 붙어 있지만 지키지 않는 여행객들이 보입니다. <br> <br>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보건 당국이 이동 자제를 권고했지만 <br> <br>미국 항공교통의 중심지인 시카고 공항에선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라졌습니다. <br> <br> LA공항도 붐비긴 마찬가지. <br> <br>[카린 브라이언 / 여행객] <br>"조금이라도 정상으로 돌아가야 해요. 우린 원래 여행을 많이 하는데 이번이 올해 첫 여행이에요." <br> <br>[존 할러데이 / 여행객] <br>"가능한 사회적 거리를 두고, 손을 씻는 것, 그게 전부죠. 사람들은 자신의 인생을 살아야 해요." <br> <br> 미 전역에 있는 검사소 앞에는 여행을 가도 되는지를 확인하려는 인파와 차량행렬로 긴 줄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[리사 코폴롱고 / 뉴욕시 거주] <br>"연휴에 비행기 타고 고향 집으로 가려고요." <br> <br> 현지시간 어제 19만 명 가까운 확진자가 쏟아진 미국은 최고치를 또 갈아치웠습니다. <br> <br> 연휴를 보낸 뒤 또한번 폭발적인 확산세가 우려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1500만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유럽. <br> <br> 프랑스에선 강도 높은 이동제한령이 2주째 시행 중이지만 크리스마스 파티만은 포기할 수 없는 시민들을 위해 정부가 트리 판매를 허용했습니다. <br> <br>[알렉산드라 오브리트 / 파리 시민] <br>"마스크 안으로 나무 향이 들어오는데 냄새를 맡으니 기분이 정말 좋네요." <br> <br> 집단 면역 시험으로 논란이 됐던 스웨덴 정부는 뒤늦게 야간 영업 제한 등의 조치를 내렸지만 곳곳에서 몰래 영업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