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평검사부터 고검장까지 집단행동에 나선 초유의 상황, 사회부 정현우 기자의 취재 내용을 좀 들어보겠습니다. <br> <br>1. 그야말로, 다 들고 일어난 거죠? <br> <br>네, 오늘 하루 전국 20여 곳에 이르는 일선 지검과 지청에서 평검사들이 회의를 열었고, 앞서 보셨듯이 검찰 고위 간부인 고검장과 지검장들도 입장문을 발표했는데요. <br> <br>회사로 치면 말단 사원부터 부장에 이사까지 모두 참여한 셈이어서, 사실상 검찰 조직 전체가 집단행동에 나섰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2. 초유의 일이라고 하지만 과거에도 평검사들이 회의를 열어 반발한 적은 있었잖아요? <br> <br>말씀하셨듯이 평검사회의,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. <br> <br>마지막으로 열린 게 7년 전인데요. <br> <br>채동욱 당시 검찰총장이 혼외자 의혹으로 사표를 냈을 때 서울서부지검 검사들이 회의를 소집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번에는 좀 다른 양상인 게, 이번에는 고검장과 지검장들도 나서 목소리를 낸다는 겁니다. <br> <br>승진을 못 하면 퇴직이 관례인 고검장 지검장들은 인사상 불이익을 신경 쓸 수밖에 없는데요. <br><br>오늘 발표된 입장문을 보면 직책과 이름을 모두 밝히고, 정제됐지만 강도 높은 어조로 추미애 장관의 검찰총장 직무정지와 징계청구가 부당하다고 표현했습니다. <br><br>선배 검사들이 평검사들에게 운신의 폭을 넓혀주려고 총대를 멨다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. <br> <br>3. 그런데 이번에 성명 낸 고검장 지검장들,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임명한 사람들 아닙니까? <br> <br>네, 오늘 입장문을 낸 고검장과 지검장 23명 모두 추미애 장관이 인사해 임명한 사람들이고요, 승진한 사람도 있습니다. <br> <br>본인을 임명하고 승진시킨 장관에게 반기를 든 셈인데요. <br> <br>다만 앞서 보신 것처럼 이름을 안 올린 지검장도 3명 있는데요. <br><br>윤 총장 처가 의혹을 수사 중인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, 라임 사건을 수사 중인 이정수 서울남부지검장, 추 장관 아들 병역 의혹을 수사했던 김관정 서울동부지검장입니다. <br> <br>윤 총장이나, 추 장관과 연관된 사건을 맡고 있어서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4. 검사들 실제 분위기가 어떤지 정현우 기자가 취재를 좀 해봤다면서요? <br> <br>네, 취재를 해보니 코로나19로 대면 회의가 여의치 않아서 전화나 메신저로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의견을 모았다고 하고요. <br> <br>윤 총장에 대한 호불호를 떠나서, 추미애 장관의 조치가 검찰의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란 공통된 우려가 나왔다고 합니다. <br> <br>총장의 개인 비리도 아니고, 사건 수사와 관련한 판단 등을 감찰과 징계의 근거로 삼은 건 문제가 있다, 이런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위아래 가릴 것 없이 의견을 표출하며 집단행동에 나선 겁니다. <br> <br>5. 집단 반발은 이미 벌어졌고, 어떻게든 수습이 되어야 할 텐데요. 추미애 장관은 꿈쩍도 안 하는 것 같은데요? <br><br>네, 앞서 보셨듯이 법무부가 윤석열 총장을 판사 사찰 의혹과 관련 직권남용 혐의로 수사의뢰를 했고요. <br> <br>다음 달 2일, 그러니까 다음 주 수요일 징계위원회도 열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사상 초유의 현직 검찰총장 직무정지와 징계청구에 이어 수사의뢰까지, 검사들 여론이 어떻든 추 장관은 내 갈 길을 가겠다는 입장으로 보입니다.<br> <br>6. 윤 총장이 오늘 소송도 냈지만, 총장직에 복귀할 수 있는 방법은 있는 겁니까? <br> <br>윤 총장 측이 직무정지 집행을 중지해달라는 신청과 정식 소송을 행정법원에 제기했는데요. <br> <br>가처분 신청은 정식 소송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직무정지 상태를 풀어달란 겁니다. <br> <br>법원이 윤 총장의 손을 들어주면 곧바로 총장 업무에 복귀하게 됩니다. <br><br>그런데 징계위원회가 1주일 앞으로 잡혔기 때문에 해임이 결정되면 결국 윤 총장 물러나야 합니다. <br> <br>해임 무효 소송을 해도 결과가 나오기까진 한참 걸리는데, 그 사이 윤 총장이 다시 한번 가처분 신청을 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추 장관이 해임 결정과 동시에 후임 검찰총장 임명을 대통령에게 요청할 수 있다, 이런 관측도 나옵니다. <br><br>후임 총장 임명 이야기까지 벌써 나오는군요. 여기까지 듣겠습니다. 사회부 정현우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