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위험군이 모여 있는 요양병원과 요양원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시행한 전수검사도 집단감염을 막는 데 분명한 한계를 드러낸 만큼 보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2일 직원 A 씨가 코로나19에 확진돼 5층 병동이 집단 격리된 속초의 한 요양병원입니다. <br /> <br />A 씨를 시작으로 환자와 요양보호사 등이 줄줄이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A 씨는 경기도 용인 키즈카페 관련 확진자 가족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요양병원 집단감염은 강원도뿐 아니라 서울과 경기, 충남 등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임숙영 /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(21일) : 요양기관 등 감염에 취약한 시설로 전파된 사례처럼 고령자와 기저질환자들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건강과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요양병원이나 요양원은 한 번 감염이 발생하면 많게는 확진자가 수십 명씩 폭발적으로 나오고 감염 고리를 끊기도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좁고 밀폐된 환경에서 요양보호사와 환자들의 신체 접촉이 많아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더욱이 입소자 대부분이 기저 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자들이다 보니 감염되면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큽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런 고위험군 집단감염을 막겠다며 지난달부터 요양병원과 정신병원 종사자 등에 대해 전수검사를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원 음성 판정을 받은 곳조차 검사 이후 집단감염이 발생하는 등 방역관리체계의 한계를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[백순영 / 가톨릭대학교 의대 명예교수 : 2주나 4주 간격으로 PCR(유전자 증폭)검사를 한다 할지라도 실제로 당시에 양성이냐 음성이냐를 뜻하는 것이고 시기적으로 2주 안에 또 감염되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을 수가 있고요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외부를 오가는 의료진이나 종사자들에 대한 방역관리를 철저히 하고 빠른 대응을 위해 신속진단키트와 항체검사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[shsong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112909074083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