옻나무 불에 그을려 얻는 천연약재 '화칠' 채취 한창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옻나무를 불에 그을리면 진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'화칠'이라고 합니다.<br /><br />예부터 위장병 등에 특효가 있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전통 방식으로 진액을 채취하는 곳은 거의 명맥이 끊긴 상황에서 고집스럽게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장인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휘훈 기자가 소개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남 함양군 마천면 지리산 자락.<br /><br />마을 한쪽에 자리 잡은 작업장 굴뚝에서 흰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오릅니다.<br /><br />안에서는 옻나무를 불에 이리저리 그슬리는 작업이 한창입니다.<br /><br />30년 동안 '화칠' 작업에만 몰두한 안채호 씨의 눈빛에서 장인의 기운이 느껴집니다.<br /><br />장작불을 가까이하자 칼집을 낸 옻나무 틈새에서 하얀 진액이 금세 배어 나오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십수 년 전만 해도 이곳 마천면에는 화칠 작업을 하는 장인이 여럿 있었지만, 이제 안 씨 혼자만 남았습니다.<br /><br /> "지금은 나이가 드셔서 금계마을에 한 분이 옻칠하고 계십니다. 3대째 내려오는 가구로 (전통이) 100년 정도 됐고…"<br /><br />온종일 작업해서 나오는 양은 고작 1㎏ 남짓.<br /><br />제가 손에 들고 있는 게 200g 정도 되는 화칠인데요.<br /><br />이 정도를 생산하려면 7~8년 된 옻나무 3~4그루 정도는 베어내야 합니다.<br /><br />화칠은 살아있는 옻나무에서 진액을 채취해 가구 등에 칠하는 '생칠'과는 달리 주로 약재로 쓰입니다.<br /><br />수족냉증, 속이 찬 사람, 만성 위장병 치료 등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그대로 먹으면 입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에 생달걀과 함께 삼키는 게 좋습니다.<br /><br />고된 노동 끝에 손에 쥘 수 있는 양은 얼마 안 돼, 이제는 명맥이 거의 끊겼지만, 안 씨는 화칠을 그만둘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찾는 사람들이 반드시 찾거든요. 저희들이 안 하면 하시는 분들 없어요. 작업하시는 분들이. 반드시 찾으니까 저희들이 계속 작업하는 겁니다."<br /><br />화칠 채취 작업은 10월부터 겨울 내내 이어집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