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코로나 19 신규확진자 오백 여든 세명입니다. <br><br>이 와중에 수능 끝낸 수험생들 대이동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><br>2주동안 60만 명에 달합니다. <br><br>장하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학생들 안전을 위해 학부모들께서는 빨간선 밖에서 대기 부탁드립니다" <br> <br>논술 고사를 보기위해 대학 고사장 앞에 모인 학생들. <br> <br>문진표를 작성하거나, QR 코드를 확인한 뒤에 시험장으로 들어갑니다. <br> <br>어제부터 시작해 앞으로 2주 동안 대학별 수시전형이 진행됩니다. <br> <br>수험생 60만 명이 각 대학별 시험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겁니다. <br> <br>서울 주요 대학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<br>성균관 대학교는 하루에 두 번 보던 시험을 세 번으로 나눠 인원은 분산했습니다. <br><br>서강대는 거리두기를 위해 고사실 숫자를 늘리고, 입실 최대 인원을 100여 명에서 40명으로 크게 줄였습니다. <br><br>고려대는 대면 면접의 부담을 덜기 위해, 사전 녹화한 답변 동영상을 제출받는 방식으로 바꿨습니다. <br><br>학부모와 수험생들로 캠퍼스가 북적였던 예년과 달리, 올해는 아예 학교 정문 앞에서 학부모의 출입을 차단한 곳도 있습니다. <br> <br>[최정훈 / 서울 광진구] <br>"(캠퍼스)안까지 들어가지 못하고 교문에서 아쉽지만 학생을 보내면서 뒷모습을 바라보면서 열심히 시험을 잘 치르도록 응원했습니다." <br><br>[이동훈 / 경기 파주시] <br>"사람이 많이 모이니까 무슨 일이 있지 않을까하는 걱정이 있긴 했는데 고3이다보니 대학이 중요해서 감수하고 봤습니다." <br><br>정부와 보건당국은 특히 수도권 대학으로 전국의 수험생이 집중됨에 따라 집단 감염 우려가 크다며, 수능이 끝났지만 친구들과의 모임을 자제하고 나머지 입시 일정을 준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. <br> <br>jwhi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최혁철 <br>영상편집: 구혜정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