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반면, 윤 총장 복귀 이후 탄력을 받고 있는 원전 관련 수사 상황도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주말 사이 산업부 공무원 2명이 구속됐지요. <br> <br>검찰은 이들 외에, 다른 산업부 사무관 컴퓨터에서도 원전 관련 추가 자료를 확보해 분석 중입니다. <br> <br>공태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검찰은 최근 월성 원전 1호기 조기폐쇄 업무에 관여한 산업통상자원부 사무관의 컴퓨터를 추가로 압수수색 했습니다. <br> <br>산업부의 원전 조기폐쇄 관련 자료를 추가로 확보한 겁니다. <br> <br>앞서 산업부 관계자들은 감사원 감사를 앞두고 원전 조기폐쇄 관련 자료 444건을 삭제했습니다. <br> <br>이중 120건은 복구되지 않은 상태였습니다. <br> <br>검찰은 추가로 확보한 자료 중 삭제된 자료가 포함됐는지 분석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자료 삭제를 주도한 산업부 국장과 서기관은 지난 4일 구속된 상황. <br> <br>여권에서는 "대통령의 정책을 수행한 공무원들을 구속한 것"이라며 반발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검찰은 이번 사건은 탈원전 정책에 대한 수사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책의 집행 과정이 합법적인지를 들여다보기 위한 수사라는 겁니다. <br> <br>산업부 공무원 구속도 "증거인멸 혐의에 대한 법원의 판단"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실무자 구속으로 수사의 동력을 찾은 대전지검 수사팀의 '윗선' 수사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. <br> <br>특히 백운규 전 산업부 장관과 당시 대통령 산업정책비서관이었던 채희봉 가스공사 사장에 대한 소환조사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ball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