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나라도 오늘 백신 수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전 국민 88%인 4400만 명 분 물량을 내년 2월부터 확보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실제 접종이 시작되는 것도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그러나 백신 보관과 유통까지, 아직 갈 길이 멉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부는 글로벌 제약사 4곳과 개별협상으로 3천 4백만명 분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백신 공동구매 국제기구인 코박스 1000명분까지 합하면 4천 4백만명분입니다. <br> <br>당초 3천만명분에서 백신 부작용 등을 감안해 물량을 늘렸습니다. <br> <br>백신은 3상 시험이 진행되고 비교적 안전성이 검증된 제조사 가운데 제조방식 별로 각각 2곳씩을 선정했습니다. <br> <br>아스트라제네카와는 선구매 계약이 완료됐고 화이자와 얀센은 구매협약, 모더나는 공급확약 단계로 모두 이달 중 계약을 마친다는 설명입니다.<br> <br>정부는 내년 3월쯤 국내 도입을 시작해 내년 말까지는 물량을 모든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내년 상반기에는 접종을 시작한다는 계획이지만 백신 공급 시기에 따라 더 늦춰질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[박능후 / 보건복지부 장관] <br>"물량을 우선 확보해 두고 그 다음에 각 백신의 특성에 맞게 가장 안전성 검사를 다 거치고 난 다음 국민들에게 천천히 백신을 접종하겠다." <br> <br>4개사 백신이 보관, 유통도 제각각이어서 준비 과정도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화이자의 경우 영하 70도의 콜드체인을 유지해야 하는데 미국과 독일은 이미 별도 센터를 구축했지만 <br>우리는 전담반을 꾸려 지금부터 준비해야 합니다. <br> <br>정부는 제약사들의 부작용 면책 요구에 대해 불공정한 부분이 있지만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해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전문가들은 사실상 3곳의 제약사에 의존하는 상황인 만큼 부작용 등에 대비해 추가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 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