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래 차의 핵심인 자율 주행 기술 개발과 실증을 위해 2년여 전 세종시가 자율주행 특화도시로 선정됐는데요, <br /> <br />그동안 우리나라 자율 주행 기술은 어떻게 변했을까요?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용차로를 달리는 버스 <br /> <br />승객이 타고 내리는 사이로 운전사의 모습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운전대를 잡고 있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차가 스스로 속도를 내고 줄이고 방향을 바꾸는 자율주행 버스입니다. <br /> <br />무인 버스가 실제 도로를 달릴 수 있는 것은 세종시가 유일합니다. <br /> <br />자율주행 특화도시로 선정돼 실제 기술 검증을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윤석무 / 세종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 : 정책 연구회나 협의회를 구성해 많은 신규 과제를 기획하고 애로를 겪는 규제를 발굴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것들을 통해 지난해 '규제 자유 특구'로 지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자율주행 신기술을 자동차 외의 분야에 적용하는 기업 생태계도 갖춰졌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성과가 바로 자율주행 트랙터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트랙터, 이양기 생산 기업과 자율주행 연구 기업이 만나 완성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정해진 구역을 가장 효율적인 경로로 작업할 수 있어, 국제 경쟁력까지 갖췄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[채희성 / 자율주행 기술 개발 기업 대표 : 대부분 자율주행 차라는 것에 함몰돼 있는데, 조금만 시각을 돌려보면 자율주행을 개발하며 완성한 기술을 다른 쪽에 작용해 회사의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현재 12개 자율주행 연구 기업이 참여해 적용 분야를 더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후 2025년까지는 기업을 최대 30개사로 늘리고 실증 기술을 상용화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대전 반석역과 오송 KTX, 청주공항과 세종 정부청사를 잇는 충청권 광역교통체계를 자율주행 기술로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121018541246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