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국방 장관에 중부 사령관이었던 로이드 오스틴 장군을 공식 지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인선이 방위비 분담 협상과 전시 작전권 전환 문제 같은 한미 군사 현안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?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가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역사상 첫 흑인 국방장관으로 지명된 오스틴 전 중부 사령관, <br /> <br />바이든 당선인은 발탁 배경에 대해 "오스틴처럼 군대는 국가 안보의 한 수단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지도자가 필요하다"며 "군대를 최후의 수단으로만 활용하고 외교관과 전문가들이 외교정책을 주도하도록 권한을 부여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외교 주도권 회복과 동맹 복원을 목표로 한 외교 라인의 정책에 미 국방부도 충실히 보조를 맞추게 한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로이드 오스틴 / 미 국방장관 지명자 : 아태 지역 등 전세계의 동맹들을 방어하고 도발을 억제하며 안정을 유지하는 국방부 역할을 이해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동맹을 중시하는 입장인 만큼,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은 합리적인 선에서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반면, 바이든 당선인이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즉각 철회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는 등 대중 강경 대응 방침을 분명히 하고 있어, 전시 작전권 전환 조건 가운데 하나인 '한반도와 역내 안보 환경 충족'은 쉽지 않아 문재인 정부 내 전작권 전환은 난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'중동 전문가'였던 오스틴 지명자가 약점으로 꼽히는 동북아시아 경험부족을 해소하는 과정에 우리 측의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군대를 최후의 수단이라고 강조한 바이든 당선인의 정책 방향과 미중 갈등을 앞에 둔 북한이 앞으로 어떻게 반응할지가 한미 국방 당국의 첫 시험대가 될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21102270791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