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용산 등 미군기지 12곳 인수…1조 규모 정화비용 ‘부담’

2020-12-11 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용산기지 일부를 포함한 주한미군 기지 12곳의 반환이 확정됐습니다. <br><br>용산기지 땅은 1882년 청나라 군대가 자리 잡은 이후 격동의 역사 속에서 일본, 미국 군대가 주둔해왔는데요. <br> <br>무려 138년 만에 우리 품으로 돌아온 겁니다. <br> <br>반환 이후엔 공원, 주택 등으로 쓰이게 될텐데요. <br> <br>하지만, 논란도 있습니다. <br> <br>빨리 반환을 받기 위해, 미군에게 부담을 요구해왔던, 기지 정화비용을 일단 우리가 떠안게 됐습니다. <br> <br>규모가 최대 1조원 정도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첫 소식 최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국이 그동안 주한미군이 쓰던 기지 12곳을 반환했습니다. <br><br>용산기지 남쪽 사우스포스트와 주택공급이 예정된 캠프킴 등 서울 6곳과 경기 3곳, 대구, 포항, 태백 각각 1곳입니다. <br> <br>반환되는 부지 면적은 여의도의 절반이 넘습니다.<br> <br>비록 일부지만 용산기지가 반환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 <br> 1882년 이후 청나라와 일본, 미군이 계속 주둔해온 서울 노른자 땅이 138년 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온 겁니다. <br> <br>용산기지는 앞으로 국가 공원으로 조성됩니다. <br> <br>의정부 캠프 잭슨은 국제아트센터로 동두천 캠프 모빌은 유통산업단지로 개발합니다. <br> <br>성남 미군 골프장은 아파트를 지을지, 육군 골프장으로 쓸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이렇게 미군 기지 땅을 돌려받게 됐지만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에 일부를 반환받는 용산 미군기지 남쪽 지역입니다. <br> <br>유류와 중금속 등 9개 항목에서 최대 36배나 기준치를 초과하는 등 토양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> <br>환경단체들은 용산을 포함해 모든 기지의 환경 오염을 정화하려면 2년 정도 걸리고 비용만 최대 1조 원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 돈은 일단 우리 정부가 부담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[최창원 / 국무조정실 1차장] <br>"반환 지연으로 야기되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문제와 해당 지역의 조속한 반환 요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입니다. 깨끗하고 철저하게 정화해" <br> <br>정부는 미군과 협의해 나중에라도 받아내겠다고 밝혔지만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 12년 전부터 반환받기 시작한 24개 기지의 정화 비용 2200억 원도 아직 받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주택공급 부지 확보와 정부 임기 내 기지 반환이란 시간표에 쫓겨 사실상 환경 정화 비용까지 떠안은 것 아니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찬기 <br>영상편집: 조성빈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