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서울 최고의 노른자위 땅인 용산 기지가 일부 반환되면서, 어떻게 쓰일지 온통 관심인데요. <br> <br>경제정책산업부 안건우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1. 오늘 서울 미군기지 6곳이 반환이 됐는데요, 반환되면 이 땅에 뭐가 들어오는 거지요? <br> <br>네. 용산구 5곳, 중구 1곳입니다. <br> <br>주목되는 건 용산구 5곳입니다. <br> <br>15만3000제곱미터 크기인데요. <br> <br>미군 기지는 거대한 공원으로 바뀌고, 5곳 중 캠프킴에 3100호의 공공 아파트가 들어섭니다. <br> <br>나머지 흩어져 있는 부지들은 매각 등의 절차를 밟게 됩니다. <br><br>2. 용산 캠프킴에만 3100호가 들어오는 건데, 원래 여기도 공원 예정지였잖아요. 아파트 이야기가 언제부터 나왔던 건가요? <br> 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원래 공원 예정지였죠. <br> <br>고 박원순 서울시장이 "아파트는 절대 안된다"고 했지만 도심 핵심지역에 공급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정부가 방침을 바꿔 이곳에 공공임대나 공공분양 아파트를 짓겠다고 지난 8월 발표한 거죠. <br><br>3. 변창흠 장관 후보자가 공공분양주택을 밀고 있잖아요. 예전에 실패했던 적이 있다고 하던데요. 왜 실패했던 겁니까? <br> <br>변 후보자가 도입을 주장해온 모델이 바로 환매조건부 주택인데요. <br> <br>일단 정부 소유 땅값을 뺀채 나머지 금액만 실소유주가 부담하게 해 분양가를 낮췄죠. <br> <br>하지만 집을 팔 때는 시세차익을 거의 포기하고 공공기관에 되팔아야 하는 겁니다. <br> <br>그래서 실패한 적이 있습니다. <br><br>서울에서 차로 1시간 반 정도 거리인 경기 군포시였는데요. <br> <br>2007년에 환매조건부로 공공주택을 분양했는데 90% 넘게 미분양됐죠. <br><br>4. 이번 용산 캠프킴은 다를까요? <br> <br>용산은 서울 한복판입니다. <br> <br>지난 8.4 공급대책 직후 한 조사에서 실수요자들이 가장 가고 싶은 곳으로 꼽은 곳이 바로 용산 캠프킴이었거든요. <br> <br>여기선 성공할 수 있단 평도 나옵니다. <br> <br>[조주현 / 건국대 부동산학과 명예교수] <br>"모든 게 입지에 달렸죠. 임대라고 해도 공공에서 차익을 거둬간다고 해도 기대는 있죠." <br> <br>단, 조건이 있습니다. <br> <br>질적 공급, 양적 공급 모두 잡으려면 민간 건설사의 참여가 필수적인데 민간분양을 일부 섞어서 수익성을 높이고 다양한 계층이 어울릴 수 있는 단지도 조성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또 공공분양으로 입주한 사람이 아파트 시세가 올라도 이익을 가져가지 못하게 하기보단 <br> <br>일정 수준의 차익은 거둬갈 수 있게 하자는 의견도 나옵니다. <br> <br>그래야 여기 살던 사람들도 집값이 오른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력이 생기니까요. <br><br>5. 그게 인기가 있을 수 있다면, 용산 캠프킴 외에 다른 반환된 용산 땅에도 주택을 지을 수는 없나요? <br> <br>앞서 설명해드린 대로 일단 나머지 알짜부지들은 매각하거나 원래 소유자에게 반환하는 절차를 거치기로 결정됐거든요. <br> <br>이곳들을 택지로 사들인 주체가 택지로 개발할 수도 있고 다른 용도로 개발할 수도 있으니 그건 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