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서울 용산구에서 발생한 전기차 테슬라 화재 사건과 관련해, 차량 손잡이가 논란입니다. <br> <br>고급차량에 장착되는 숨겨진 손잡이가 화재 진압을 어렵게 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홍유라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119 구조대원들이 테슬라 전기차의 조수석 문을 뜯어내려 안간힘을 씁니다. <br> <br>하지만, 문을 열지 못해 뒤쪽 트렁크를 열고 조수석에 있던 차주 윤씨를 구조했지만, 결국 숨졌습니다. <br><br>화재가 발생한 테슬라 모델 x 롱레인지는 1억 원이 넘는 고급 대형 전기차로, 차량 외부에 문을 여는 손잡이가 없습니다. <br> <br>일반 차량의 손잡이 지점을 누르면 전자식으로 열리지만, 전력 공급이 끊기는 비상시엔 문을 열기 힘든 구조입니다. <br> <br>이런 형태의 손잡이는 외관상 매끈한 느낌을 주고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줄여준다는 장점 때문에 <br> <br>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벨라나 벤츠의 신형 모델 등 고급차 위주로 도입이 확대되는 추세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이번 화재 사건을 계기로 비상 시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호근 /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] <br>"문을 열기 상당히 어렵고 보조키를 이용하거나 수동적으로 열어야 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엔 심각한 인명사고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." <br><br>또 테슬라 같은 전기차에 쓰이는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열과 충격에 취약해 불이 나기 쉽고 화재가 나면 진화도 더 어렵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박병일 / 자동차 명장] <br>"배터리가 압축되면서 폭발할 수 있습니다. 하나가 폭발하면 옆에 것이 연쇄적으로 폭발할 수 있어요." <br> <br>당시 차를 운전했던 대리기사는 급발진을 주장하고 있으며, 법원은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해 차량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했습니다. <br>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<br>yura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