각국 백신 총력전…러·중 제품까지 하나라도 더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영국과 미국 외에도 각국이 코로나19 백신 확보를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우디아라비아도 화이자 백신 사용을 승인했고, 브라질은 중국 시노백 백신의 자체 생산을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김효섭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연방정부와 주정부 간 백신접종 시기와 방법을 두고 충돌하는 브라질에서는 상파울루주가 독자 행보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미 수개월전부터 임상시험은 물론 구매 계약까지 체결했던 중국 시노백의 백신 '코로나백' 생산에 돌입한 겁니다.<br /><br />내년 1월초까지 4천만회분 생산이 목표입니다.<br /><br /> "상파울루는 더이상 팔짱을 끼고 있지 않을 것입니다. 백신이 필요한 모든 주와 생명을 구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브라질 보건부가 여전히 주정부별 백신 접종 계획에 반대해 난항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아르헨티나는 자체 개발한 스푸트니크V의 대량 접종을 추진 중인 러시아에서 대량의 백신을 수입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총 500만명이 접종할 수 있는 양으로 공급가는 2만2천원정도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스푸트니크V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주변의 우려와 달리 아르헨티나 정부는 강한 신뢰감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 "러시아 백신이 아르헨티나에 도입되면 제가 가장 먼저 맞겠습니다. 백신의 품질에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."<br /><br />사우디아리비아도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사용을 승인했습니다.<br /><br />영국과 바레인, 캐나다에 이어 전세계 4번째입니다.<br /><br />사우디 식품의약청은 조만간 백신의 수입과 접종을 위한 절차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