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원 하락에 울고 웃고…달러 약세에 산업별 희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원·달러 환율이 1,100원 아래로 떨어지면서 우리 수출기업들은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매출이 줄어 큰 걱정입니다.<br /><br />반면 원자재 수입이나 달러 부채를 안고 있는 기업들은 긍정적인데요.<br /><br />최근 달러 약세가 우리 기업들에는 산업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달 들어 원·달러 환율은 수출기업들의 심리적인 마지노선인 1,100원 선 아래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환율이 10원이 떨어질 때마다 국내 완성차 5개 사의 매출은 4,000억 원이 줄어듭니다.<br /><br />해외 매출이 65%를 차지하는 현대기아차의 입장에서는 무시할 수 없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수출 비중이 높은 철강이나 반도체도 가격 경쟁력 하락을 걱정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원자재와 설비, 소재 등을 수입에 의존한다는 면에서 상쇄 요인은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중소기업의 경우 환율 하락 시 수익성에 바로 영향을 받습니다.<br /><br />반면 항공업계는 항공기 리스 비용이 줄어들면서 대한항공의 경우 10원이 하락할 때마다 870억 원의 외화평가이익이 발생합니다.<br /><br />조선업은 손실 부담이 있긴 하지만 선주들 입장에서는 선박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발주를 늘릴 수 있어 수주에는 긍정적이라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달러 약세가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, 장기화할 경우엔 저점을 1,050원까지 예상합니다.<br /><br />원화와 위안화는 강세인 상황에서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가의 무역수지는 오히려 좋아질 것이란 신호로 해석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 "가격이 하락하는 효과와 물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감안하면 상쇄하는 부분이 있고 중장기적으로 수출이 늘어날 수 있는 긍정적인 환경이 좀 마련될 수 있다는 부분에서"<br /><br />수출기업들은 달러 약세에 내년 경영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지만, 중간재 수입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