병상 부족 심화…"민간병원도 나서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부 대형교회나 호텔, 대학 등이 당국의 간절한 요청에 호응하고 나서긴 했지만, 병상부족 상황은 심화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국내 전체 의료기관 병상의 절대다수를 보유한 민간병원의 참여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보도에 박상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시의 생활치료센터는 모두 9곳.<br /><br />사용 가능한 병상은 300여 개입니다.<br /><br />선별진료소 설치 이후 확진자가 더 늘게 되면 생활치료센터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.<br /><br />이미 일부 자치구에서는 생활치료센터 입소를 이틀 동안 기다리는 사례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자치구 생활치료센터 개소 준비에 따라서 (입소가) 지연된 부분도 보통 이틀 지나고 나면 시에 있는 생활치료센터로 배치를 하고…가족이 전체적으로 입실을 요청하는 그런 개인적인 사정에 따라서 조금 지연되고 있는 부분…"<br /><br />신규 확진자의 70% 이상이 몰려있는 수도권으로 범위를 넓혀보면 상황은 더 복잡합니다.<br /><br />용인시는 병상 배정을 못 받은 시민이 수십 명에 달해 수련 시설을 준생활치료센터로 활용하기로 했고, 경기도는 수원 경기대학교 기숙사를 생활치료센터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14일 기준 코로나 위중증 환자가 당장 입원할 수 있는 수도권 병상은 5개에 불과한 실정.<br /><br />현장에선 병상을 하나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호텔이랑 협의가 끝나서 음압시설, 검체검사실 같은 것도 다 설치해야 되나 봐요. 원래는 한 일주일 정도 걸리는데 음압시설 안 해도 되는 그런 건 빨리해서 하려고…"<br /><br />서울시가 대학들과도 적극적인 논의를 진행 중인 가운데, 일부에선 확진자 치료 공간 부족 상황이 길어지면 민간병원도 병상 제공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. (srpar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