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 시대, 수산업도 살아남기 위해 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클릭 한 번이면 두 시간 만에 제주산 광어가 서울 식탁에 오릅니다. <br> <br>홍진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제주 광어를 수출하기 위한 물류센터가 인천에 문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주로 일본에 수출했지만, 미국과 동남아 시장으로 다변화하기 위한 전초 기지입니다. <br> <br>내년엔 이곳에서 1인 가구 증가 추세에 맞춰 1인용 또는 소포장 제품도 만들어집니다. <br> <br>[홍진우 기자] <br>"이곳 제주에서 난 광어를 전화나 클릭 한 번이면 2시간 안에 집에서 싱싱한 회로 즐길 수 있게 됩니다." <br> <br>자체적으로 설립하는 광어 판매 프랜차이즈와 직배송 등을 통해 가격까지 낮추겠다는 구상입니다. <br> <br>코로나19는 광어 양식 어민에게 위기이자 기회가 됐습니다. <br> <br>비대면 배송과 드라이브 스루 판매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특히 드라이브 스루 판매 당시 3톤 넘게 팔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수협은 온라인 광어회 판매량을 2022년 300t에서 2024년에는 1000t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. <br> <br>[고민철 / 제주 광어 양식 어민] <br>"유통단계를 줄여서 소비자들에게 더 다가가려 하고 있고요. 그동안 힘들었던 양식 어가에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." <br> <br>제주도에는 제주 광어 가공·유통센터가 만들어집니다. <br> <br>이곳에선 어묵과 생선 가스 등 광어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를 개발해 관광객들에게 선보입니다. <br> <br>[한용선 / 제주어류양식수협 조합장] <br>"코로나19로 소비패턴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가 가공해서 직접 도매시장, 소매시장, 마트로 공급할 예정입니다." <br><br>언택트 시대에 맞춰 광어 양식 어민과 수협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홍진우입니다. <br> <br>jinu0322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한익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