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백신 없는 올 겨울은 어쩔 수 없다 해도, 내년 겨울에도 없을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미국이 화이자 추가공급분을 내년 3분기에 받는다는 대답을 들었는데, 정식계약도 못한 우리의 백신 시간표는 자꾸 밀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황하람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미국 내 첫 코로나19 백신이 투여되는 순간, 환호성이 터져 나옵니다. <br> <br>미 FDA 승인 나흘 만에 백신은 전국에 배포됐고 접종 대상자들은 기쁨을 감추지 못합니다. <br> <br>[레이먼드 플라 / 조지워싱턴대 마취과 의사] <br>"우리 커뮤니티 모두를 위한 성탄 선물인 거죠." <br> <br>미 보건당국은 내년 2월부터 일반인 접종도 시작하겠다며 이미 확보한 1억 회분에 추가로 1억 회분 공급을 화이자에 요청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,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[앨버트 불라 / 화이자 CEO] <br>"미국 정부는 내년 2분기에 추가 물량을 공급받길 원하지만 현재로선 대부분을 3분기에 공급할 수 있을 것입니다." <br><br>화이자는 내년에 13억 회분 분량의 백신을 생산할 계획인데 선구매로 미국에 1억 회분, EU, 일본 등 나머지 국가들에 남은 12억 회분 대부분을 배분했습니다.<br><br>우리나라가 계약을 추진 중인 화이자 백신 2000만 회분도 여기에는 포함됐지만 아직 계약서에 사인은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. <br> <br>선진국들이 이렇게 끼어들기로 추가 백신을 요구할 경우 우선 순위에서 밀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그래서 나옵니다. <br> <br>[정세균 / 국무총리] <br>"선구매한 백신이 내년 1분기부터 제때 도입되어 차질없이 접종될 수 있도록 (하겠습니다.)" <br> <br>보건 당국은 안전성 우려가 제기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해서는 "미 FDA 승인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나라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영국에 이어 미국, 캐나다에서 백신 접종이 시작된 가운데 우리만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 <br> 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