秋·尹 정국 '봉합' 가닥…2차 개각 서두를 듯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법무부 징계 결정으로 추·윤 정국은 일단 어떤 식으로든 봉합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으로선 이번 사태로 인해 빠른 속도로 소진된 국정운영 동력을 다시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는데요.<br /><br />어떤 반전 카드를 꺼낼지에 시선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강영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공은 이제 문재인 대통령에게로 넘어왔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 입장은 한결같습니다.<br /><br />현행법에 따라 문 대통령은 징계 결과를 그대로 집행해야 한다는 게 청와대 판단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추미애 법무장관이 정직 처분을 내용으로 하는 윤 총장 징계를 제청하면, 문 대통령은 법무부 결정을 존중하는 태도를 취하며 재가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결국 징계라는 강제적인 방법이 동원되긴 했지만, 첨예한 추·윤 갈등의 한 끝단이 무뎌지게 되면서 향후 국정운영에 있어 문 대통령의 운신 폭은 넓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애초 예상됐던 해임이나 면직보다 수위가 낮다는 점도 문 대통령이 정치적 부담을 더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관심은 이제 문 대통령이 추·윤 사태 장기화로 악화한 민심을 어떻게 추스르고, 임기 후반 국정 동력을 유지해 나갈지에 쏠립니다.<br /><br />거론되는 가장 유력한 카드는 2차 개각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으로 이미 여권 내에서도 용퇴론이 제기된 추미애 법무부 장관 교체가 핵심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여권에선 '검찰 개혁'의 상징인 공수처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곧바로 국무회의를 거쳐 시행에 들어간 만큼 추 장관은 충분히 '소임'을 다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지난 4일 부동산 정책 실패와 관련해 김현미 국토부 장관을 바꾸는 1차 개각을 단행한 이후로도 대통령 지지율이 바닥으로 내려앉고 있어 강력한 국면 전환용 개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가 유력시되는 박영선 중소벤처부 장관도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이며, 개각 시기는 공수처 출범이 공식화하는 내년 1월 초가 될 것이라는 예상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영두입니다. (k0279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