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월 취업자 27만3천명↓…9개월 연속 감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고용 한파가 이어지며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27만 명 이상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감소 폭은 한 달 전보다 줄었지만, 고용 위축은 벌써 9개월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는 2,724만1,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7만3,000명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감소 폭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하향 영향으로 10월의 42만 명에서 소폭 줄었지만, 코로나 사태로 인한 고용 위축은 3월부터 9개월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9개월 연속 고용 감소는 외환위기로 1998년 1월부터 16개월간 이어진 감소세 이후 가장 긴 고용 위축입니다.<br /><br />타격은 직접 접촉이 필요한 업종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도소매업이 16만6,000명이 줄어들며 가장 감소 폭이 컸고 숙박·음식점업이 16만1,000명 감소해 그다음이었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 고용 감소 폭도 10월의 9만8,000명에서 11만3,000명으로 더 커지며 뒤를 이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공공행정은 15만2,000명, 보건업·사회복지서비스업은 11만4,000명 취업자가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연령별로는 60대 이상만 37만2,000명 증가했을 뿐, 나머지 연령층은 모두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가 16만9,000명,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가 10만5천 명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만8천 명 늘었지만, 임시근로자가 16만2천 명, 일용근로자 4만4천 명 줄며 코로나발 고용 한파가 고용 취약계층에 더 큰 타격을 입힌 모습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지난달 실업자는 96만7,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0만1,000명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비경제활동인구는 1,667만5,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3만1,000명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이 중 쉬었음이라고 답한 인구는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늘어 21만8,000명 늘어난 235만3,000명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