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빠 찬스로 산 아파트…위법 의심 190건 적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 합동조사반이 편법 증여와 불법 청약 등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를 대거 적발했습니다.<br /><br />부모가 든 보험을 해지한 돈으로 고가아파트를 산 20대도 있었고 30억 원 짜리 집을 전액 아버지에게 빌려 샀다고 신고한 30대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대인 A씨는 올해 18억 원 짜리 아파트를 사면서 대금 절반인 9억 원을 저축성 보험을 해지해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 보험의 보험료는 A씨가 낸 게 아니었습니다.<br /><br />보험료 납부 당시 A씨가 미성년자였음을 확인한 국토부는 증여가 의심된다고 국세청에 통보했습니다.<br /><br />30억 원짜리 집을 사면서 대금 전액을 아버지로부터 빌렸다고 신고한 30대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이 역시 편법증여가 의심되는 사례입니다.<br /><br />국토부가 수도권 주택거래 과열 지역에서 577건의 부동산 거래를 검증한 결과, 3분의 1인 190건이 이 같은 편법 증여나 거래 신고 위반이 의심되는 사례들이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서울 강남과 송파, 용산권역은 탈세 의심 거래 비율이 3%로, 다른 지역보다 9배 가까이 높았습니다.<br /><br />갈수록 뜨거워지는 청약시장에서도 불법행위는 끊이지 않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장애인이나 국가유공자 명의를 빌려 특별공급을 받거나, 고시원에 위장 전입해 당첨된 이들도 꼬리를 잡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대응반 출범 뒤 자체 수사를 통해 부동산 범죄로 입건된 사람들만 지금까지 61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 "주거 안정을 해치고 있는 조직적 불법행위 단속을 위해서 검찰, 경찰, 지자체 특별사법경찰 등과 공조를 강화해나갈 계획입니다."<br /><br />아파트단지 집값 담합으로 적발된 사람도 12명이었는데, 합동조사반은 시민들의 제보가 담합 적발에 큰 역할을 한다며 적극 협조를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