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구당 평균 부채 8천256만 원…전년 대비 4.4%↑ <br />"젊은 층, 내 집 마련·전세자금 대출 크게 늘어" <br />30대 가구 신용대출, 전 연령층에서 가장 많아<br /><br /> <br />전국 가구당 평균 빚이 8천만 원을 넘은 가운데, 30대 젊은 층의 빚이 평균 1억 원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내 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은 젊은 층이 늘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가 하면, 정부 지원금 영향으로 지난해 소득 격차는 가장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지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3월 기준, 전국 가구당 평균 부채는 8천256만 원으로 1년 전보다 4.4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젊은 층 가구주의 부채 상승이 두드러집니다. <br /> <br />39살 이하 가구주의 가구당 평균 부채 보유액은 9천만 원이 넘어 1년 전보다 12.2%가 늘었고, 특히 30대는 1억 원을 넘어서며 13% 이상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40∼50대 부채 증가율의 배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내 집을 마련하거나 전세자금을 구하기 위해 대출을 받은 젊은 층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30대 가구의 신용대출은 평균 1천378만 원으로 전 연령층에서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[임경은 / 통계청 복지통계과장 : 주택 구입이나 아니면 전·월세 보증금을 위해서 부채를 얻게 되었다는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요. 신용대출 같은 부분에서는 생활비 충당 혹은 자영업자 같은 경우에는 사업비를 위해서 부채를 얻는다.] <br /> <br />저소득 가구인 소득 1, 2분위의 가구당 부채 증가율은 고소득 가구인 5분위보다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저소득 가구가 생활비 마련 등을 위해 빚을 늘린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소득 격차는 기초연금 인상과 근로장려세제 확대 등 정부 지원금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지난해 가장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소득 분배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0.339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1년 이후 가장 낮았고,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도 6.25배로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근로와 사업 등을 통해 번 시장 소득은 상·하위 계층 간 격차가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지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21723063692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