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부가 오늘 브리핑에서 백신 추가 확보 물량이나 화이자나 모더나사 백신의 구체적 도입 시기를 발표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별 진전이 없었습니다. <br> <br>경제정책산업부 김단비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. <br> <br>Q1. 정부가 믿고 있는 건 아스트라제네카 천만명분이잖아요. 아스트라제네카는 도입과 동시에 접종은 가능한겁니까? <br> <br>정부는 2-3월 도입후 신속하게 접종하겠다고 했지만 정확한 시기는 특정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은 지난 11일 미 FDA가 화이자 백신 긴급사용승인을 허가하자마자 백신이 바로 미국 전역에 공급됐고 사흘 뒤 첫 접종이 이뤄졌는데요. <br> <br>아스트라제네카가 국내 도입되더라도 의료 인력이나 백신 유통 시스템을 이제 막 논의하는 상황이라 도입이후 곧바로 접종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합니다. <br> <br>Q2. 백신도입이 다른나라에 비해 너무 늦는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정부가 인정했습니까?<br><br>정부는 안전성을 검증한 뒤 도입하자는 원칙 때문에 고민하는 시간이 길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미국이나 영국은 상황이 심각해 서둘러 접종을 시작했다고 했는데요. <br><br>코로나19는 전 인류가 처음 겪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와 우리가 마주한 상황이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. <br> <br>코로나 청정국가라 불리는 뉴질랜드만 해도 누적 확진자가 2천명 정도 밖에 되지 않지만 전 국민이 맞을 수 있는 백신을 이미 확보했습니다. <br> <br>Q3, 안정성이라는 해명도 뉴질랜드 사례를 보면 무색해지네요. k-방역에만 도취되서 공격적으로 백신 확보는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입장이 있습니까. <br><br>정부는 오늘 백신도입 TF 운영현황을 공개했습니다. <br><br>지난 6월말부터 17번이나 회의를 했다는 노력을 강조하고 싶었을 텐데요. <br> <br>보시면 8월까지는 주로 해외 동향을 검토했습니다. 8월 말에 가서야 본격적으로 백신 구매 예산을 따져보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회의에는 외교부, 질병청 식약처, 기재부도 참여했는데요. <br> <br>전문가에게 공격적으로 백신 구매를 하지 못한 배경을 묻자 "전량 폐기를 감수하더라도 과감한 구매 결단을 내려야 하는데 이런 걸 용인하는 분위기가 형성이 안 돼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지난 2009년 신종플루때 백신 재고 처리 문제가 불거지면서 담당 공무원들은 한달 동안 감사를 받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백신에 부작용이 생기면 전량 폐기해야하는데 TF에서는 어느 누구도 불확실성을 감수하고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Q4.평소에는 정부 예산을 좀 보수적으로 쓸 수 있다고 해도, 이런 위기상황에서 듣기에는 답답한 얘기네요. <br> <br>9월 코로나 백신 수급 논의가 한창일 때 유통 문제로 독감 접종이 중단되는 일이 겹쳤는데요. <br> <br>당시에 독감 백신 여파로 문제 생길 일을 만들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있었다고 합니다. <br> <br>미국은 대대적으로 '초고속 작전’이라는 팀을 만들어 백신 확보에 나섰고 이스라엘은 정보기관인 모사드까지 동원돼 백신 경쟁에 나섰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하기도 했는데요.<br> <br>국민 안전과 결부된 문제에 너무 안일하게 접근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> <br>지금부터라도 강력한 컨트롤 타워가 움직이길 기대해봐야겠습니다. <br><br>김단비 기자 잘들었습니다.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