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백신 급행료, 코로나 계'…美 한인사회 사기범죄 기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연방정부가 한인 사회에 사기 범죄에 대한 주의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대유행으로 가뜩이나 생계가 어려워졌는데 사기 범죄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로스앤젤레스에서 정윤섭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 연방거래위원회 FTC가 한인 사회 등 이민자 커뮤니티에서 '세이빙 클럽'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'세이빙 클럽'은 아는 사람들끼리 돈을 모아 자금을 불린 뒤 순번대로 돈을 타가는 형태로 운영되며 곗돈을 모으는 방식과 같습니다.<br /><br />세이빙 클럽 사기꾼들은 코로나로 살림이 어려워진 소수민족 자영업자를 표적으로 삼아 접근한 뒤 그 주변 지인들까지 끌어들여 돈을 최대한 불린 후 자취를 감춘다고 FTC는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FTC 소속 케이티 다판 변호사는 "사기범들은 '큰돈을 벌 수 있으니 다른 사람을 데려오라'는 방식으로 꼬드긴다"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 심리를 이용해 사기를 저지르는 사례도 수백건에 달합니다.<br /><br /> "사기꾼들은 검증되지 않은 (코로나19) 가짜 치료법과 테스트를 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 FTC는 (사기를 일삼은) 275개 이상의 회사에 경고장을 보내 이를 중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."<br /><br />미국에서는 일반 국민에게 백신을 무료로 접종하고 있는데 사기꾼들은 백신 비용이 선불이라고 주장하면서 돈을 요구하기도 합니다.<br /><br />또 백신을 좀 더 빨리 맞게 해주겠다며 급행료 지급을 강요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FTC는 백신 접종에 필요하다면서 개인 정보를 빼돌려 범죄에 활용하는 사례도 있다면서 돈과 금융 정보를 요구하는 자동 녹음 전화, 이메일, 문자 메시지에 응답하지 말라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코로나 사기 유형과 사례, 사기 피해 방지법을 한국어 등 10여개 언어로 번역해 홈페이지에 게재했습니다.<br /><br />로스앤젤레스에서 연합뉴스 정윤섭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