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 긴 터널을 끝낼 유일한 방법은 미국처럼,백신뿐입니다. <br><br>그런데 우리 정부 백신확보에 계속 소극적이었고, 유일하게 계약을 체결한 게 아스트라 제네카 백신이었죠. <br><br>최소한 이 천만 명 분, 물론 이것만으론 턱없이 모자랍니다만 일단 이것만이라도, 내년 3월 안에 도입된다, 여러 차례 말해왔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건 또,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, <br><br>계약서에는 언제 도입되는지 날짜가 박혀 있지 않다는 겁니다. <br><br>논란이 일자 정부는 서면으로 약속을 받았다고 했는데 과연 도입 날짜를 못 지켜도 법적 책임 물을 순 <br>있는 건지, 의아합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정부는 내년 2~3월이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백신의 국내 도입 시기라고 수차례 반복했습니다. <br> <br> 이보다 앞당겨질 가능성도 내비쳤습니다. <br> <br>[임인택 /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(어제)] <br>"식약처의 사용승인이 나고 아스트라제네카와 협의가 되면 2~3월까지 안 기다려도 됩니다." <br> <br> 그러나 정부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측이 체결한 구매계약서에는 구체적 시기가 명시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지난달 화상회의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측이 '내년 2~3월경 공급할 수 있다'고 밝힌 약속을 근거로 정부가 발표한 겁니다.<br> <br> 도입이 빨라질 수도 있지만 물량 부족 등 업체 사정에 따라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이에대해 복지부는 "2~3월부터 도입한다는 내용은 회의록 등 서면으로 확인받았다"며 "일정에 차질이 없는 건 분명하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화이자 백신을 세계 최초로 승인했던 영국에선 "오는 28일이나 29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용이 승인될 수 있다"는 현지 보도가 나왔습니다.<br> <br> 아스트라제네카 CEO는 내년 2월부터 브라질에서 접종이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임상 시험 과정에서 예방 효과가 70%대에 그치고 접종량을 줄여야 더 효과가 있다는 중간 결과가 나와 미 FDA의 승인은 내년 중반이 될 거라는 관측도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편집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