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<p>사람과 접촉하기를 꺼리는 시대는 자율 주행 택시 시대도 앞당기고 있습니다. <br><br>우리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‘자동차’와는 생긴 것부터 딴판인데요. <br><br>미국 윤수민 특파원이 미리 보여드립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휴대전화 앱으로 택시를 호출했더니 운전자도, 핸들도 없는 로보택시가 도착합니다. <br> <br>승객 2명씩 마주 보고 앉을 수 있어 마치 작은 기차 같습니다. <br> <br>앞뒤 똑같은 쌍둥이 얼굴의 독특한 설계로 전진과 후진 개념이 없습니다. <br> <br>차량 네 귀퉁이에 카메라와 레이더를 설치해 사각지대를 줄였습니다. <br> <br>한 번 충전으로 최장 16시간 운행이 가능합니다. <br> <br>[앤디 파이퍼 / 죽스 개발자] <br>"이 차량은 시속 75마일(120km)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됐습니다. 고속도로 주행이 가능하다는 얘기죠. <br> <br>그리고 양쪽 어느 방향이든 운행할 수 있는데 저희 주행 시험 트랙에서 입증됐습니다." <br> <br>아마존의 죽스는 이르면 내후년부터 근거리 배달에 활용될 계획입니다. <br> <br>미내밴을 개조해 만든 구글의 자율주행 택시 웨이모입니다. <br> <br>신호등을 인식하고, 과속방지턱 앞에선 속도를 줄이는 등 상당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윤수민 특파원] <br>"미국에서 로보 택시 상용화에 성공한 곳은 웨이모가 유일합니다. 실리콘밸리와 피닉스 지역 등에서 <br>600여 대가 운행 중입니다."<br><br>운전자가 없는 택시지만 코로나 예방을 위해 투명 가림막도 설치됐습니다. <br> <br>[웨이모 택시 이용자] <br>"차에 아무도 없는데 우리가 왜 마스크를 써야 하는지 모르겠네." <br> <br>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도 한층 발전했습니다. <br> <br>좁은 도로를 주행하다 맞은 편에서 차량이 근접하자 알아서 옆으로 비켜섭니다. <br> <br>[테슬라 베타서비스 이용자] <br>"와 진짜 좋네요. 타이밍이 딱 맞아 떨어져요. 이 개방된 주차 공간으로 숨어들어가네요." <br> <br>테슬라는 자신의 차를 자율주행 택시로 제공하는 서비스도 구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차주가 로보 택시를 운영할 경우 연간 3만 달러의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 <br> <br>현대차그룹도 빠르면 2025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를 위해 차량 공유업체인 리프트와 손 잡고 내년 상반기 미국에서 로보택시를 선보입니다. <br> <br>코로나19 확산 속에 시민들이 나홀로 교통수단을 선호하면서 '로보택시' 시대도 성큼 다가왔습니다. <br> <br>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 <br> <br>soo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최춘환(VJ)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/p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