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년 만에 또 위기…쌍용차 협력업체도 벼랑 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쌍용자동차가 다시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하면서 협력사나 대리점들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자금 수요가 큰 연말연시에 돈을 못 받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그 파장이 생각보다 더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0년 넘게 쌍용차 부품 대리점을 운영해온 A씨.<br /><br />2009년 쌍용차가 법정관리에 들어갔을 땐 겨우 버텨냈지만, 이번엔 사정이 다르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코로나 불황에 대리점 매출도 반 토막 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터진 일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협력업체도 부품을 원활히 공급해야 되는데 법정관리로 간다면 제대로 되겠냐 이거죠. 우리 부품 대리점도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면 소비자에게 원활한 공급을 못 하게…"<br /><br />차 한 대에 들어가는 부품은 약 2만 가지.<br /><br />무수한 협력사들이 완성차업체들과 대리점들에 부품을 공급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회생절차가 받아들여지는 것은 기업이 현재의 각종 빚을 다 갚기 어려움을 뜻합니다.<br /><br />당연히 협력사는 대금을 제때 받을 수 없어 부품 수급 차질은 불가피하고 협력사나 부품 대리점 모두 매출이 끊어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전국의 쌍용차 부품 대리점은 200곳, 1차 협력사만도 448개에 고용인원만 16만 명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정부와 채권단의 지원이 시급한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시간이 오래되면 될수록 회사도 손해, 협력업체도 손해가 되니까 빠른 시일 내에 해결했으면 좋겠어요."<br /><br />정부는 대출 만기 연장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, 임시방편일 뿐 거래처가 끊어질 수 있다는 근본적 문제를 풀진 못합니다.<br /><br />쌍용차가 해법을 찾을 시간 여유는 자율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진행할 석 달.<br /><br />이 기간 해법을 찾지 못하면 쌍용차와 협력사, 대리점은 모두 생사의 갈림길에 서게 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