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흘 만에 다시 1천명대 확진…위중증 환자 284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,092명 발생해 사흘 만에 다시 1천 명대로 올라섰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는 284명으로 또 최대치를 기록했는데, 방역 당국은 전담 요양병원을 지정해 고령의 외상환자를 돌볼 계획입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,092명.<br /><br />연이틀 세 자릿수로 주춤했던 신규 확진자 증가세는 다시 빨라졌습니다.<br /><br />하루 확진자로는 두 번째로 많은 수치입니다.<br /><br />수도권에서 전체 지역 발생 환자의 68%인 718명이 발생했고, 충북, 광주, 대전, 제주 등에서도 수십 명의 확진자가 나왔습니다,<br /><br />병원, 종교시설, 회사 등 일상 어디서든 감염이 지속되고 있고, 요양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의 확진 규모도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는 284명으로 또 최대치를 기록했고, 하루 사망자도 17명 발생해 벌써 9일째 두 자릿수 사망자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요양병원에서 확진되거나 자택 대기 중인 고령 외상환자를 입원 치료하기 위해 감염병 전담 요양병원 지정도 추진 중입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요양병원에선 집단감염 발생 때마다 고령 환자들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제때 이송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습니다.<br /><br /> "서울·경기·인천의 국립 그리고 또 민간 요양병원들에 대해서 곧 지정을 해서 운영하도록 할 예정에 있습니다."<br /><br />또, 방역 당국의 추적망에서 벗어난 감염경로 불분명 환자는 2주간 3,595명 발생해 전체의 27.4%를 차지했습니다.<br /><br />지역 내 상존한 조용한 전파자가 수도권의 선제적 익명 검사로 조금씩 드러나면서 감염경로 불분명 비율을 높이는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