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이용구 법무부차관의 폭행 피해자, 그 당사자인 택시기사를 저희 취재진이 만났습니다. <br> <br>폭행 당시 상황과 이후 합의 과정까지 상세하게 밝혔는데, 백신 소식부터 전해드리고 바로 이어가겠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글로벌 제약사인 얀센, 화이자와 1600만 명분 백신에 대해 추가 구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관심은 계약 자체보다 도입 시기인데요. <br> <br>미국 식품의약국, FDA 승인을 받은 화이자와 모더나는 내년 하반기에나 도입이 가능하고, 아직 임상 실험이 끝나지 않은,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이 먼저 들어올 계획입니다. <br> <br>정부가 그동안 강조해 온 안전성으로 치면 오히려 도입 순서가 바뀐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옵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정부는 얀센과 화이자와 코로나19 백신 구매 계약을 완료했습니다. <br> <br>이제 계약이 남은 곳은 모더나 한 곳입니다. <br><br>아스트라제네카를 포함해 우리나라에 도입이 확정된 물량은 2600만명분입니다. <br><br>하지만 당장 내년 1분기 접종이 가능한 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뿐입니다. <br> <br>얀센 백신은 2분기, 화이자 백신은 내년 3분에나 도입될 예정입니다.<br> <br>정부는 도입과 접종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을지 확답을 못해 접종 시기는 더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[정세균 / 국무총리] <br>"(화이자 백신) 도입시기를 2분기 이내로 더 앞당기기 위해 국가차원의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으며" <br><br>정부는 다른 나라의 접종 추이를 보며 안전성을 우선한다는 방침이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<br>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은 아직 백신 개발 최종단계인 임상 3상도 마무리 되지 않았고 미 식품의약국 FDA 승인도 받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임상 3상을 마무리하고, 미국과 유럽은 물론 싱가포르와 중남미에서도 접종을 시작한 화이자나 모더나는 내년 하반기 <br>접종으로 미뤄졌습니다. <br> <br>[천은미 / 이화여대 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] <br>"큰 부작용이 있으면 절대 승인이 날 수가 없어요. 다른 나라 같은 경우는 지금부터 맞아서 봄에 다 끝내려고 서두르는 거잖아요.“ <br> <br>백신마다 면역 항체를 유지하는 기간이 불확실해 국민의 60% 이상 집단 면역을 형성하려면 최대한 빨리, 많은 사람이 접종받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영상취재: 한일웅 <br>영상편집: 이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