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국과 유럽연합, EU가 무역협정을 포함한 미래관계 협상을 극적으로 타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영국은 2016년 6월 국민투표를 통해 브렉시트(Brexit)를 결정한 지 4년 반 만에 EU와 완전한 결별을 앞두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국과 EU는 현지시간 24일 미래관계 협상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EU 행정부 수반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길고 구불구불한 길이었지만, 그 끝에서 좋은 합의를 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/ EU 집행위원장 : 힘든 날이고 영국의 우리 친구들에게도 힘든 날이라는 것을 압니다. 이별은 그렇게 달콤한 슬픔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영국 정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"2016년 국민투표와 지난해 총선에서 국민에게 약속했던 것을 이번 합의로 완수하게 됐다"면서 "영국은 다시 재정과 국경, 법, 통상, 수역의 통제권을 회복했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 정부는 "우리는 처음으로 EU와 무관세, 무쿼터에 기반한 협정에 서명했다"며 "이는 서로에게 있어 가장 큰 양자협정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보리스 존슨 / 영국 총리 : 매년 6,600억 파운드 규모의 영국과 EU 사이의 포괄적인 자유무역 협상을 타결했다는 것을 발표할 수 있어 기쁩니다.] <br /> <br />영국과 EU가 미래관계 협상을 타결하면서 합의안은 이제 양측 의회 비준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영국 정부는 다음 주 의회를 소집해 합의안을 승인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또한 합의안은 EU 27개 회원국의 만장일치 승인과 유럽의회의 비준 역시 거쳐야 합니다. <br /> <br />앞서 영국은 EU와 브렉시트 합의를 통해 지난 1월 말 회원국에서 탈퇴했고 지난 3월부터 9개월간 협상을 계속해왔지만 최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해 '노 딜' 우려가 커져왔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이 전환기간이 종료되는 연말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내년부터 세계무역기구, WTO 체제를 적용받을 예정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경우 양측을 오가는 수출입 물품에 관세가 부과되고 비관세 장벽도 생기게 돼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됐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122508364565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