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 백신을 먼저 확보해 접종이 시작된 나라들은 백신 관련 범죄까지 일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백신을 먼저 맞기 위한 '백신 빼돌리기'와 '새치기'가 기승입니다. <br> <br>정다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의사와 간호사 등 수십 명의 의료진들이 병원에서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의료 현장 투입은 먼저, 백신 접종은 마지막." <br><br>코로나 백신 우선 접종 대상에 현장 의료진 대신, 집에서 원격진료를 하는 병원 고위직 등이 먼저 포함됐다며 시위에 나선 겁니다. <br> <br>병원 측은 시스템 오류였다며 명단을 수정하겠다고 했지만 논란은 여전합니다. <br><br>미국 뉴욕 주의 한 네트워크 의료기관이 만든 코로나19 백신 광고 포스터입니다. <br> <br>'선착순'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고, 일반인 대상으로 신청을 받는다고 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주 정부가 마련한 접종 순위를 위반한 겁니다. <br> <br>[앤드루 쿠오모 / 뉴욕 주지사(현지시간 10일)] <br>"뉴욕주는 요양시설 거주자나 근로자 그리고 고위험군 의료진에게 백신 접종 우선권을 줍니다." <br> <br>이 의료기관은 2천 3백 회분의 모더나 백신을 지급받아 일반인을 대상으로 3분의 1 이상을 접종한 것으로 알려져 당국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영국도 '백신 새치기'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. <br> <br>영국 부촌의 한 병원 의사는 "'300만 원을 낼 테니 백신 접종 순위를 앞당겨달라'는 전화가 있었다"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수요에 비해 물량이 턱없이 부족하다보니 가짜 백신 공급 우려도 나옵니다. <br><br>유로폴은 "SNS 등을 통해 가짜 백신이 유통될 가능성도 있다"며 비공식 경로를 통한 접종을 경고했습니다. <br><br>또 백신 탈취가 우려된다며 수송 차량의 호송 강화도 권고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dec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