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백신을 먼저 접종한 국가에서는 '백신 여권'까지 만들려고 합니다. <br> <br>백신을 맞았다는 정보를 전자로 증명해주는 것인데, 백신을 못맞은 국가의 국민들은 차별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황하람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국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7일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백신 접종자는 420만 명. <br> <br>미국과 유럽 등에서 백신 접종이 본격화하면서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'백신 여권' 개발 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><br>'백신 여권'은 국경을 넘거나 대규모 국제 행사에 참여할 때 백신을 맞았다는 증빙 자료로 스마트폰에 입력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<br> <br>'백신 여권' 개발에는 스위스의 비영리단체 코먼스 프로젝트는 물론, 루프트한자·유나이티드항공 등 항공사, 의료법인, IT 업체들도 참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[마리아 밴커코브 / WHO 소속 전염병학자]pip <br>"일부 국가들이 코로나 19에 감염된 사람들이 면역이 생겼는지 가려내는 백신 여권이나 증명서 사용을 고려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코먼스 프로젝트 관계자는 "아프리카를 여행하려면 황열병 백신 접종 증명서인 '옐로 페이퍼'를 내야 하듯, 백신 여권이 '디지털 옐로 페이퍼'가 될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문제는 백신 확보 규모나 접종 속도에서 국가마다 차이가 있어 자칫 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의학적으로도 우려가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[최재욱 /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 교수] <br>"백신을 접종했다하더라도 유효기간이 3개월이나 6개월이냐 이 부분에 대해서 논란이 있을 수 있고 백신의 효과가 제품마다 다르기 때문에…" <br> <br>또 개인정보 유출이나 위조 여권 등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어 '백신 여권' 도입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 <br> 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구혜정